제낭업체들은 배낭, 탄띠, 탄입대, 수통, 의류대(더블백), 천막 등을 만들어 군부대나 관공서에 납품하는 특수기업들이다.
제낭조합의 조합원사 수는 93개 업체. 이중 90% 정도가 군부대에 제품을 공급하는 군납업체들이고 나머지 10%는 경찰서 등 공공기관에 납품하는 관납업체들이다.
군수물자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특수기업인 만큼 제낭업체들의 매출은 정부, 공공기관의 예산 규모, 특히 단체수의계약 실적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제낭업계의 단체수의계약 실적은 수년전까지만해도 연간 180∼190억원 가량 됐지만 최근 계약실적이 계속 줄어 지난해에는 110억원의 계약을 올리는데 그쳤다.
제낭제품의 질이 향상되다 보니 내구성이 좋아져 군부대의 대체수요가 그만큼 줄어들었다는 것이 실적 감소의 주요인이다.
최근 들어 제낭업계 전체는 큰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매년 시장규모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데다 최근 정부가 단체수의계약 축소방침을 세워놓고 있어 제낭업계도 이를 감안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제낭조합 이사장에 취임한 허영두(68) 삼부산업 대표는 업계를 추스려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는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제낭산업은 여타 업종과는 다릅니다. 군수품 전문생산업체라는 특수성이 있습니다. 제품을 그냥 막 만드는게 아닙니다. 재봉질 하나에도 2∼3년된 숙련기술이 필요한 곳이 있습니다.”
허 이사장은 정부가 제낭업계의 특수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 점에 우려하고 있다.
“제낭업계에도 최저가 낙찰제도가 일반화된다면 결국 여타업종과 마찬가지로 제살깎아먹기식 덤핑 경쟁이 불가피해지겠죠. 덤핑업체는 낮은 입찰단가를 맞추기 위해 제품의 질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고, 업계 전체의 존립기반마저 무너지게 될 것입니다.”
허 이사장은 “덤핑업체는 2∼3년간 경영을 유지하겠지만 다른 업체들은 고사(枯死)할 것이고 덤핑업체도 결국엔 수지를 맞출 수 없을 것”이라며 “국가의 비상사태 대비와 안전확보를 위해서라도 제낭업계를 비롯한 방산업계의 특수성이 감안돼야 한다”고 말했다.
허 이사장은 이런 그의 신념을 실천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단체수의계약의 부정적 이미지를 씻기 위해 공정한 물량배정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며 납품되는 제품의 품질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허 이사장은 “조합의 품질지도과 직원들이 수시로 출장을 나가 생산업체들의 품질규격을 사전 심의하고 생산된 시제품은 조합에서 철저히 검증하는 절차를 거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그는 업계 스스로의 구조조정 노력이 절실하다는 점을 인식, 조합원사 경영의식 교육 및 세미나 개최를 준비하는 한편, 원부자재 공동구매 활성화를 통해 원가절감 노력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허 이사장은 “단체수의계약은 일부 업체들이 나눠먹는 잔칫상이 아니라 중소기업 생존권을 보장하는 최후의 안전장치”라며 정부의 인식전환을 강조했다.
양옥석기자·사진=나영운기자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