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정보 산업은 국가경쟁력을 한단계 높이는 미래 산업입니다. 모든 것의 공간적인 이동을 가장 빨리, 가장 효과적으로 가능하게 해줍니다. 낙후된 국내 지리정보산업의 발전을 위해 관련 법규를 개정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등 모든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습니다.”
지난 2월 한국지리정보산업협동조합 총회에서 이사장으로 선임된 조성태(57) 삼부기술 대표는 이같이 포부를 밝혔다.
‘지리정보’하면 얼핏 떠오르는 것이 ‘지도(map)’다. 그러나 지도가 2차원 평면만을 의미하는 반면 ‘지리정보’는 3차원의 공간정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더 나아가 지리정보시스템(GIS)이란 자연 및 사회·경제적 정보를 지리적 공간 위치에 맞춰 입력하고 저장해서 여러 목적에 맞게 활용, 분석하는 기술을 말한다.
최근 GIS는 디지털컴퓨터의 활용으로 데이터 저장 및 공간정보 이용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됐다. 자동차 위치추적장치인 ‘네비게이션’도 따지고 보면 GIS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기본적인 지리정보(GIS)를 바탕으로 그 위에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덧입혔기 때문이다.
세계가 갈수록 급변하고 공간지형도 그만큼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GIS기술은 더욱 중요해져 가고 있다. GIS가 구축되면 기업이나 일반인, 모두가 그만큼의 시간과 물류비용을 줄여 국제경쟁력을 갖출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은 이러한 GIS에 대해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기울여오지 못해 왔다. 정부가 도로, 철도, 다리, 댐, 상·하수관 건설 등과 같은 하드웨어 인프라 구축은 중요시 여기면서도 이와 관련된 소프트웨어에는 소홀했다는 것이 관련 전문가들의 평가다.
“인프라가 건설되면 그에 따라 공간·사회·경제적인 지형도 바뀌기 마련입니다. 이에 관한 지리정보를 계속 업데이트 하지 않으면 시간이 흐른 후 그에 따른 많은 대가를 지불해야 합니다.”(조성태 이사장)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서울시 상·하수도관을 매설하면서 그에 대한 정보를 상세지도로 만들어 놓고 항상 업데이트 하고 있다면 어떤 부분에서 어떻게 사고가 나더라도 곧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지리정보가 없다면 사태는 걷잡을 수 없다. 그래서 조 이사장은 “지형을 변화시킬만한 각종 공사를 수행할 때 공사 집행기관은 반드시 GIS도 함께 구축하도록 제도화 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GIS 구축은 하드웨어에 비하면 극히 적은 비용으로 가능하다”면서 “이 비용을 아끼기 위해 DB관리를 소홀히 하는 것은 대단히 어리석은 일”이라고 밝혔다.
조 이사장은 앞으로 지리정보업계, 협회, 학회 등 목소리를 한데 모아 ‘대형공사 진행시 GIS구축을 의무화’하는 것을 제도화 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병행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그는 “정부 관련부처의 관심소홀로 지리정보의 기술용역 대가기준마저 마련돼 있지 않아 수요기관이 예산책정도 제대로 할 수 없다”면서 “우선 지리정보 기술용역의 품셈(대가)기준부터 마련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GIS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GIS 교육센터’(서울 신촌)를 보다 활성화할 방침이다. GIS 우수 연구인력을 유치, 업계의 공동연구과제를 수행토록 하는 한편 조합원업체 임·직원들을 재교육하고 신규 인력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조성태 이사장은 충북대 농업토목과를 졸업하고 86년 삼부기술을 설립, 경영해오고 있으며 현재 한국지적정보학회 부회장, 한국측량학회 부회장으로 활동중이다.
양옥석기자·사진 오명주기자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