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 기업을 국내에 유치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중소기업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보고서 ‘한국 경제의 구조변화와 중소기업’에서 김종일 동국대 교수는 “중소기업 클러스터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국내 대기업의 생산활동 국내 유지와 함께 다국적 기업의 국내 유치에도 필수불가결하다”고 밝혔다.
그는 “다국적 기업은 생산활동 근거지를 결정할 때 그 기업의 핵심 역량을 보완하는 기술이나 혁신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지역을 선택하므로 국내 생산 시스템의 완결성을 높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술이 선진화될수록 조세, 임금 등 비용절감적인 요인보다 기술 역량이 중요해지기 때문에 토지제공이나 규제완화 등의 유인책보다 다국적 기업을 보완해줄 수 있는 생산역량을 국내에 보유하는 게 이들 기업을 유치하는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중국 등 후발공업국의 발달로 단순노동부문 외에 생산 가치사슬에서 주요 부문을 차지하는 부품, 소재 산업도 해외로 나가고 있다”면서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교수는 “1980년대 이후 임금, 환율, 시장환경 모두 중소기업에 불리하게 경제상황이 움직였다”면서 “정부가 이 기간에 자금 지원 등의 보호 정책을 펼침으로써 중소기업이 스스로 경쟁력을 갖출 기회를 막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지원·교육을 통해 혁신에 소극적인 기업을 적극적인 기업으로 바꿔 혁신 선도형 기업을 육성해야 한다”면서 “혁신 선도형 중기가 늘어나면 중소기업의 발전이 비혁신형 기업에도 파급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