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에 치우친 농업정책으로 환경오염이 심해지고 유기비료업계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한국유기비료공업협동조합 박상욱 이사장은 “농림부의 잘못된 정책집행으로 국민들의 세금이 낭비되고 품질이 떨어지는 유기비료가 유통되는 등 부작용이 크다”고 밝혔다.
친환경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기비료 역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지만 각종 정책이 축산농가를 중심으로 이뤄지다 보니 축산분뇨의 관리가 제대로 안되고 있다는 것.
특히 업계는 축산폐기물의 해양투기가 금지되자 이를 처리하기 위해 전국에 농축협공동퇴비장 32개를 설치하고 2013년까지 매년 600개씩 액비(축산뇨)저장조를 설치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박 이사장은 “업계는 그동안 국내에서 배출되는 축산분뇨의 80%를 처리해 비료를 생산해왔다”면서 “해양투기되던 15%의 축산분뇨를 처리하기 위해 정부가 선택한 방식이 너무 비현실적”이라고 주장했다.
지금까지 축산분뇨를 처리해오던 유기비료 업계에 시설과 자금을 지원해 처리능력을 높이고 비료의 품질 향상을 꾀해야 한다는 것이 박 이사장과 업계의 주장이다.
박 이사장은 “정부는 공동퇴비장 설치에 드는 비용(개당 25억원 정도)의 80%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면서 “여기에 들어가는 막대한 비용이 낭비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농축협 공동퇴비장도 퇴비를 직접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비료 업체와 퇴비업체 등에서 건조한 퇴비를 단순히 배합만 해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또 “액비저장조 역시 단순히 설치만 하고 제대로 관리가 안 될 경우 오히려 환경오염을 부추길 가능성이 많고, 악취 등의 문제로 비료로서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액비는 차라리 정화처리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이와 함께 “비료생산업 등록 및 행정처분 업무가 기존 도에서 시ㆍ군으로 이양되면서 품질저하와 업체 난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비료의 품질관리가 농업진흥청에서 시·군으로 이양되면서 담당 공무원들의 전문성이 크게 떨어질 우려가 있다”며 “공무원들의 전문성이 떨어지면 비료의 품질저하 등으로 업계와 비료사용 농민 모두 피해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박 이사장은 “유기비료는 친환경농업의 원료”라면서 “땅과 흙이 살아야 농민도 살고, 유기비료업계도 살 수 있다는 신념으로 경영에 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 이사장은 “정부는 불합리한 농업정책을 바로잡아 농민과 유기비료 업계 모두에게 신뢰를 얻을 수 있어야 할 것”이라며 정부의 지원을 거듭 당부했다.

伽簫족曠?- 1947년생
-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수료
- 1980년 흥농사 설립
- 1991년 태농비료산업사 원주공장 설립
- 1994년 태농비료산업사 이천공장 설립
- 1999년 한국유기비료공업협동조합 이사장(4대)
- 2006년 한국유기비료공업협동조합 이사장(6대)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