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소유통기업간 상생협력 증진을 위해서는 대형점 출점시 지역 중소상인에게 일정비율의 매장사용을 할당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또 대형유통업체의 해외진출시 납품업체와의 동반진출은 물론 대·중소유통업체간 협업화를 위한 유통정보시스템 구축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7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개최된 중소유통물류혁신포럼에서 발표자로 나선 백인수 한국유통물류진흥원 연구위원은 이같이 주장하고 대·중소유통업체간 협력을 통한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강조했다. 주요내용을 소개한다.

치열한 경쟁 공멸로 이어져

△지역내 경쟁구도 상생으로 바꿔야=유통산업은 일반 제조업과 달리 단위 지역 내 경쟁을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또 일반 제조업이 글로벌 경쟁자를 상대로 한 경쟁에 나서고 있는 반면 유통업은 지역 내 유통업체가 주된 경쟁상대자인 셈이다.
경쟁역량 측면에서도 제조업은 핵심역량 위주로 보유역량을 극대화하고 비핵심 중요역량의 아웃소싱 등을 통해 역량을 재구축·활용하는데 비해 유통업의 경우 단일 업체가 관련 전 영역에서 모든 역량을 보유하고 경쟁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대·중소유통업간의 양극화는 자원배분 방향 변화와 경기변동 확대 등으로 중소유통업 침체와 이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 및 소비수준의 전반적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유통업 내에서의 양극화 지속은 장기적으로는 대형점의 위축으로도 이어질 수 있으며 대형점 등이 상생협력과 지역공헌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되는 이유도 이러한 소비침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파악돼야 한다.
대·중소유통업체간에는 상생협력의 인센티브가 부족하고 대기업의 중소유통업체에 대한 지원과 평가체제가 미흡, 상생협력 성과가 부진하며 유통업간 경쟁을 지역간 경쟁으로 전환시킬 경우 지역 내 수평적 상생협력이 활발하게 이뤄질 전망이다.
지역밀착형 활동 나서

△해외 유통업계는 상생중=월마트 등 해외 주요 유통업체는 지역공헌을 중심으로 한 상생협력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월마트의 지역공헌 활동은 ▲복지단체지원 ▲자원봉사 지원 ▲지역매칭 그랜트 ▲휴일자선 프로그램 ▲재해복구사업 등 7개 정도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월마트의 지역공헌 활동은 ‘지역 밀착형’이라는 게 특징. 이는 타 기업이 단기적 홍보효과가 큰 사업을 지원하는데 비해 월마트는 지역사회에 가장 필요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월마트는 미국 내 3천여개가 넘는 지점을 지역사회 공헌활동의 기지로 활용하고 있으며 지역매칭그랜트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기금을 지원받는 단체나 개인들에게도 조성한 돈에 비례한 금액만큼 다시 지원해주는 순환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최적의 상권분할비 찾아야

테스코는 전사적 차원에서 사회공헌 목표관리 중요성을 강조하는 경우. 이 회사는 사회공헌활동 측정을 위해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KPI(핵심성과지료)를 개발, 전사적인 목표관리에 반영하고 이사회에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사적 차원에서 사회공헌 활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공헌활동의 실질적 효과성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상생협력 어떻게 추진하나=대·중소 유통업체간의 상생협력 추진을 위해서는 ▲수직적 상생협력과 ▲수평적 상생협력으로 나눠 도입해야 한다.
PB개발, 지역상품 구매 촉진, 우수중소업체 발굴, 납품업체에 대한 불공정행위 개선 등이 수직적 상생협력의 대표적인 방안으로 업계의 자율적 상생협력 노력을 검토, 프로그램 강화와 개선 지원에 나서야 한다.
이에 비해 수평적 상생협력은 중소유통업의 체질을 개선하면서 대형점과 상생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컨설팅, 상권개발 지원 등 상생모델의 발굴과 확대를 꼽을 수 있다.
수평적 상생협력의 영역에서는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 신규 지원정책 및 공동사업을 도출하고 이에 대해서는 협력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지역유통 상생협의회 구축과 활성화가 선행돼야 한다. 유통산업 발전 기본계획 수립시 지역의 대형유통업과 중소유통업간의 상생발전 방안을 포함시켜야 하며 정부, 지자체, 대·중소업체, 소비자 등으로 구성된 지역 유통 상생협의회를 출범시켜야 한다.
또 대형점과 중소유통점이 상생 협력할 수 있는 평가 항목과 지수를 개발하고 대·중소기업 협력대상에 유통분야를 신설, 지역 활성화에 기여해야 한다.
이와 함께 지방자치단체는 제3의 조사기관을 통해 지역별로 주기적이고 체계적인 지역상업 실태조사를 실시해 지역 내 대형점과 중소유통업의 최적 점포 믹스를 추진해야 하며 이를 신규 대형유통업 진출 시 교통영향평가 등과 연계해 점포개설 허가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