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활동이 생산에 미치는 기여도가 외환위기 이후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3일 `우리나라 민간기업 연구개발활동의 구조변화’보고서에서 “2천300여개 민간기업을 조사한 결과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연구개발이 기업의 생산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자본과 노동에 비해 크게 커졌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외환위기 이전(95년∼96년) 연구개발의 산출탄력성은 24.7%에 그쳤으나 외환위기 이후(99년∼2000년)에는 34.5%로 올랐다.
반면 자본은 25.3%에서 30.2%로, 노동은 50.6%에서 52.8%로 각각 소폭 오르는데 그쳤다.
산출탄력성이란 노동, 자본, 연구개발 등 생산요소를 100단위 투입했을 때 생산이 얼마나 늘어나는지를 나타낸다.
연구개발은 노동생산성 측면에서도 기여도가 크게 높아져 외환위기 이전 19.9%였던 연구개발의 노동생산성 기여도는 위기를 겪은 뒤 27.4%로 7%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이에 반해 자

본의 노동생산성 기여도는 28.3%에서 23.0%로 오히려 낮아졌다.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이 대기업보다 활발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은 97년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가 2.81%에 그쳤으나 2000년 3.14%로 증가했다. 대기업은 2.05%에서 1.81%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업종별로는 정밀기기, 정보통신 등 기술집약형 산업에서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