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이면 대권을 향한 1년여에 걸친 마라톤이 막을 내린다. 각 대선주자들은 그 어느 때보다 중소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관심을 갖고 정책 공약을 제시했다. 중소기업계도 중앙회를 중심으로 5대 핵심 정책과제, 10대 주요 정책과제, 60대 분야별 정책과제를 제안했다. 각 캠프는 이러한 제안에 대해 긍정적 검토를 약속했으므로 차기 정부에서 중소기업계의 요청이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다른 정책과제들도 중요하지만 시급히 해결해야 할 5대 핵심 과제로 선정된 것은 다음과 같다. 공공구매지원제도 개선, 소기업·소상공인의 자생력 확보를 위한 대형마트의 무분별한 확산 제한 및 소상공인 전담은행 설치, 소상공인 신용카드 수수료 인하, 소기업·소상공인공제제도에의 정부출연금 지원, 중기청의 중소기업 전용 연구개발 예산 1조원 확대, 중소기업의 판로난 해결을 위한 중소기업 전용 홈쇼핑 채널 확보, 장관급 중소기업 전담부서 설치 등이다.
10대 주요 정책과제에는 세제 개편, 금융지원 강화, 인력 문제, 대·중소기업간 협력 강화, 중소기업 기반기술 지원 시스템 구축 등이 5대 핵심과제에 덧붙여 포함됐다. 그 외 60대 부문별 정책과제에 대한 설명은 줄이고 정책과제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차기 정권이 관심을 갖고 실천해야 할 사항을 제시한다.

차기정부 정책 일관성 유지를

우선 정책의 연속성·일관성이 유지돼야 한다는 것이다.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새로운 정책,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도가 반복돼 왔다. 슬로건을 바꾸고 이에 맞추어 정책수단을 새로이 강구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만큼 중소기업 정책이 잘 정리돼 있는 나라도 드물다. 오히려 너무 많기 때문에 정책 정보를 소화하지 못해서 정보 격차가 생기는 나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정권에서 새로운 정책을 발굴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결국 이는 내용은 비슷한데 이름만 바뀌는 정책을 양산하는 결과를 보이고는 한다.
중소기업관련정책은 새로운 정책의 개발보다는 기존 정책들의 단순화와 수요자가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집행과정에서 비효율을 제거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개인적인 생각이다. 정책의 단순화 작업은 정책의 유사·중복성을 제거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유사·중복성 없애야

중소기업 관련 정책의 조정을 위해 중소기업특별위원회가 설립돼 노력을 하고는 있지만 각 정책마다 목표와 대상이 다르고, 특화하는 부분이 상이하다는 이유로 조정 작업이 어렵고 유사한 정책들이 통합되는 예가 드물다. 중소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존 정책들은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새로운 정책들이 추가되기 때문에 부처별 중소기업관련 정책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중소기업 관련 정책의 유사·중복성 문제의 근저에는 우리나라 중소기업 및 산업관련 법체제의 복잡성이 자리하고 있다. 물론 중소기업 관련 법제는 경제 환경변화에 따라 중소기업의 건전한 육성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전환에 부응하고자 새로운 법령의 제정 작업과 함께 기존법률의 개정작업을 통해 꾸준히 개선돼 오고 있음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정책이 지향해야할 목표를 구체화한다면 법제는 이의 실현을 위한 수단과 방법을 제도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행 중소기업·산업관련 법체제를 보면 중소기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법을 제외하고 간접적으로 관련된 법들은 그 대상으로 대학, 기술, 과학, 혁신, 기업 등을 포괄하고 있다. 다른 이유도 있지만 중소기업관련 각 정책들을 수립하는 각 부처들은 소관법령에 근거해서 정책을 개발하기 때문에 유사한 정책들의 통폐합이 어려운 실정이다.
정책의 단순화를 통한 수요자의 편의, 정책 집행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중소기업 관련 법체제의 검토를 차기 정부에 요청한다.

심우일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