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가 5% 중반대에 올라서면서 물가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지난해 연말 이후 들썩이던 소비자물가가 올해 들어 급등하더니 외환위기 직후 수준인 5% 중반대에 올라섰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5.5% 상승했다.
소비자물가는 올해 1월 3.9% 상승하며 정부의 물가안정목표치를 넘어선 이후 4월에는 4%를 돌파했고, 6월 들어 마침내 5%대로 올라섰다.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1월(6.8%) 이후 10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물가 급등세가 이어지는 것은 기본적으로 국제유가 상승이 계속적으로 국내 물가에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5.5%) 중 석유류가 1.93%포인트를 차지했다. 전체 물가 상승분의 35% 가량이 석유류 제품의 가격 상승에 따른 것이다.
유가 및 원자재 상승으로 원료비 부담이 커지자 공업제품 가격도 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있으며, 유가와 큰 상관이 없는 개인서비스 요금 등도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등으로 고공비행을 거듭하고 있다.
6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3% 상승, 역시 1998년 11월(4.4%) 이후 최고를 기록했으며 품목별로 물가 상승률을 살펴봐도 서민들의 실생활에 가장 기초적인 품목들이 크게 올랐다.
구체적으로는 돼지고기(27.2%), 조기(24.8%), 달걀(20.6%) 등 농축수산물은 물론, 비스킷(36.9%), 빵(17%), 스낵과자(15.7%), 라면(14.5%) 등 서민들이 주로 찾는 먹거리 제품의 가격은 대부분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도시가스(10.5%), 미용료(6%), 보육시설이용료(6.6%), 공동주택관리비(5.5%), 대입 종합학원비(7.2%) 등 서비스요금과 교육비 등도 큰 폭으로 올라 서민 생활고를 가중하고 있다.
이처럼 물가 급등세가 지속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국제유가의 폭등세에 따른 것.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선물가격의 지난해 1분기 평균 가격은 배럴당 57.55달러였으나 올해 1분기 평균가격은 97.89달러로 70% 급등했다.
우리나라 주 도입 유종의 기준가격인 두바이유 현물가격도 지난해 1분기 평균가는 배럴당 54.99달러였으나 올해 1분기에는 91.38달러로 66% 급등했으며 지난달 30일 배럴당 136.16달러로 치솟으면서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특히 달러화 약세가 우려되고 이란 등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이 커지고 있으며 미국 허리케인 시즌도 다가오고 있다는 점에서 고유가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정부는 유가 급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우선 10조5천억원에 달하는 재정을 투입하기로 하고 정부 차원의 미시 대책을 총동원하고 있다.
고유가대책에는 근로자·자영업자·사업용 차량에 대한 유가 환급금, 저소득층에 대한 유가지원금 등이 포함된다.
원가 상승 때문에 손실이 누적되고 있는 전기·가스 등 부분에 1조2천억원의 재원을 투입해 향후 공공요금 인상도 최대한 억제할 방침이다. 국세청·공정거래위원회 등을 동원해 물가 상승에 편승해 가격을 올리는 업체들에 대한 감시·감독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 대중교통수단을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