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 100만…中企 인력난 여전”

■사례 : 휴대폰 부품가공 중소기업 S사의 생산직 직원 평균연령은 40대 후반대. 상황이 이렇다 보니 고참직원들의 생산현장 노하우가 신규인력으로 이어지지 않고 사장 될 위기에 놓여있다. 이 회사 K대표는 “젊은이들은 대기업 아니면 관리직을 원하고 생산현장에 오지 않으려 한다”며 “중견 기술 인력이 없는 게 중소기업 현장의 가장 큰 걱정거리”라고 밝혔다.

청년실업 급증에도 불구하고 생산현장의 인력난은 여전해 인력수급 왜곡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최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월 대학 졸업으로 인한 청년실업자가 50만명에 이른 것을 포함 실업자 수가 1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수치는 2001년 3월(112만9천명) 이후 8년 만에 처음으로 실업급여 지급액이 3,732억원에 달했다.
그러나 취업준비생과 구직단념자 등을 포함하면 실업자 수는 350만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비해 중소제조업의 생산직 인력 부족률은 전체 인력 부족률 5.6%보다 높은 6.2%이며 R&D 인력 부족율은 7.1%에 달해 성장동력의 고갈이 우려되고 있다.

인력부족률 1순위 ‘기능직’

최근 중소기업청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제조업체의 인력부족은 전문가, 기능직, 단순노무직의 순으로 지식기반서비스업의 경우 기능직, 전문가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제조업 및 지식기반서비스업 모두 타 직종에 비해 전문가 및 기능직의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업종별로는 가구(4.11%), 기계 및 장비제조(3.65%), 의료·정밀·광학기기 및 시계제조업(3.56%)의 순이다.
인력 확보를 위한 중소기업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는 것은 적합한 인력 부재(46%), 임금조건 불일치(37%), 작업환경 열악(34.1%) 등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인력문제 해결을 위해 중소기업은 임금인상 및 복지여건 개선, 비정규직 활용확대, 생산설비 자동화 추진 등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정부의 지원이 집중돼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청년실업 무엇이 문제인가

최근의 청년 실업자 수는 37만명. 실제 실직상태는 120만명을 넘어서는 등 청년실업문제의 심각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청년인턴, 해외취업·연수 등 청년실업 해결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기대만큼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일자리의 88%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을 통한 실업난 해결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보상의 미스매치’ ‘숙련의 미스매치’ ‘정보의 미스매치’에 따라 구직자들의 중소기업 기피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개선을 통해 청년실업난 해결의 물꼬를 터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그러나 청년층의 직업관이 가치있는 일 보다 편하고 쉬운 일을 찾으면서 인력부족과 높은 실업률을 동시에 초래한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중소기업연구원 심우일 박사는 “노동 공급자인 학교도 청년실업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면서 “양질의 일자리 추구가 실업을 양산하는 만큼 학교가 청년실업자를 흡수해 고용가능성 제고와 일자리를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삼성경제연구소 류지성 연구원은 “단순노무직보다는 미래산업 인력의 선제적 육성을 위해 출연연구소와 기업이 연계된 인턴제, 대학과 기업이 함께 하는 전문석사제도 등이 도입돼야 한다”면서 “대학의 취업지원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전문인력 보강, 고용네트워크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젊은 인재 中企 취업물꼬 터야

반월 소재 S화학공업 김 대표는 “우리 회사를 거쳐 사장이 된 사람이 10여명이 넘지만 대기업에 입사해 임원까지 오르는 경우가 몇명이나 되겠냐”며 “대기업에서 근무하는 것보다 중소기업에서 근무하는 것이 미래에 대한 기회가 훨씬 많은데 젊은 인재들이 이를 인식하지 못해 안타깝다”고 말했다.
반면 중소기업 스스로 매력도를 높여 청년층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남기성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스스로 근무여건 개선 등 우수인력의 유지·확보를 위한 노력을 전개해야 한다”며 “정부정책과 인센티브에만 의존하지 말고 중소기업에도 괜찮은 일자리가 있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1995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전 사원 지주제로 회사운영을 전환한 S전자 조현복 대표는 “지주제 도입 후 의사결정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경영에 동참하는 환경을 조성해 직원들의 능력발휘가 극대화 됐다”며 “인재육성 및 지식경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인프라를 구축한 결과 우수인재 확충을 통한 기업성장동력이 강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별취재팀>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