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9세 청년층의 고용상황이 갈수록 악화일로를 겪고 있다. 7월 청년층의 취업자 수는 11만2천명이 줄며 56개월째 감소세를 보였고, 실업자 역시 지난해 보다 15만9천명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최근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중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전월 보다 11만2천명이 감소했다. 전년동월 대비 청년층 취업자 수는 2004년 12월 마이너스로 돌아선 이후 지난달까지 56개월 연속으로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청년층 취업자의 감소는 청년층 인구가 줄어든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2004년 12월 15~29세 인구는 1천4만3천명이었지만 올해 7월 977만8천명으로 26만5천명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지표들을 비교해보면 단순히 인구감소 이상으로 청년층의 고용난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청년층 취업자는 453만4천명에서 409만명으로 44만4천명 줄어들었는데, 이는 인구 감소폭 26만5천명보다 67.5%나 많은 수치다. 인구감소 폭보다 청년층 취업자 감소 폭이 훨씬 더 컸다는 의미.
또한 청년층 고용률은 2004년 12월 45.1%이던 것이 올해 7월 41.8%로 떨어졌고, 경제활동 참가율도 49.6%에서 45.7%로 낮아졌다.
경제활동에 참가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 역시 506만5천명에서 530만9천명으로 24만4천명이 더 늘어났다.
특히 7월 기준으로 비경제활동 인구 중 취업준비 등과 같은 구직활동에 뜻이 없는 ‘쉬었음’ 인구는 28만8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 보다 6만6천명 늘었다. 이 같은 증가폭은 전 연령층에서 가장 큰 것.
실업자 역시 7월 기준으로 전년동월 보다 15만9천명 증가한 가운데 15~29세 청년층이 4만5천명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청년층 고용난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것은 이들이 경기변동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데다 기대임금과 실제임금 간 괴리가 커 고용 기대치를 충족하는 직장을 구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손민중 삼성경제연구원 연구원은 청년층이 경기변동에 취약한 계층인데다 이들은 노동시장에서의 협상력이 낮아 우선 정리대상에 포함되는 불안한 지위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손 연구원은 청년층의 기대임금은 계속 올라가고 있지만 실제임금은 이에 못 미치는 것도 청년 고용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김용성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층 학력이 예전보다 높아졌지만 고학력 일자리가 이를 흡수할 만큼 늘지 않고 있어 청년층 취업난이 단기간에 해소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