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주)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과 관련 채권단과 사업주, 노조 삼자간에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이면서 1천여개에 달하는 협력업체중 금호 의존도가 높은 200여개 중소 협력업체들은 노심초사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이미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진 업체만도 수십곳에 이를 정도라 알려지고 있다.
금호워크아웃 사태와 관련 최근 산업은행과 우리은행 등 채권단과 사업주간 소유재산 출연문제, 노조와는 인력구조정 문제등으로 불협화음을 이루면서 200여 협력업체들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이 불확실한 금호 미래에 발을 동동 구르고 있는 실정이다.
벼랑 끝에 놓인 협력업체들은 연일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청와대와 유관기관 등에 호소문을 보내는 등 발등의 불 끄기에 여념없지만 그룹 전체를 휩쓴 격랑이 워낙 거세다 보니 매번 ‘메아리없는 외침’에 그치고 있다.
이런 사이 채무불이행으로 사실상 부도 상태에 놓인 협력업체만도 수십여곳에 달하고, 그 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지난달 10일 광주시가 금호 협력업체에 대해 자금지원을 실시키로 했으나 일부 생색내기용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담보력이 약하다는 이유 등으로 거절당하기 일쑤고, 대출조건도 일반기업과 크게 다를 바 없다는 게 협력업체들의 대체적인 불만이다.
광주시는 지난달 10일 금호타이어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경영안정 자금 1300억원 범위 내에서 업체당 3억원을 지원하고, 담보력이 부족한 기업은 신용보증재단을 통해 700억 원 범위내에서 업체당 4억원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힌바 있으나 이후 한달동안 30여 개 협력업체가 신청서를 제출, 이 중 지원받은 업체는 불과 12곳에 불과하고 나머지 업체는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청 업체의 40% 가량만 지원이 이뤄진 셈이다. 지원받은 업체마저도 일부는 담보 부족 등으로 신용보증재단을 통해 보증서를 발급받아 5000만원 이하의 소액 대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협력업체들은 “이같은 경영안정 자금은 ‘금호 사태’ 이전에도 이뤄져온 정책자금일 뿐이고, 대출이자도 정책자금에서 보전해주는 3%를 빼면 연이율 3∼4%로 일반 기업과 차이점이 없다”며 “무늬만 ‘특별 지원’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여기에 지원대상이 제조업체만 국한돼 기계설비나 공장 개·보수에 참여하는 건설 협력업체나 소모품 납품업이나 도매업 등 서비스분야 협력업체는 아예 지원대상에서 제외된 점도 불만을 사고 있다.
협력업체들은 직접적 자금지원이 어려울 경우 만기도래한 어음상환의 유예를 통해 협력업체의 어려움을 다소나마 해소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