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초유의 인터넷 마비사태를 불러온 ‘1.25 인터넷 대란’ 이후에도 국내 정보보호 수준은 여전히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국내 공공기관과 기업들의 IT(정보기술) 투자대비 정보보호 투자비율은 5% 이하로 평균 10.6%인 미국에 비해 크게 낮았고, 정보보호 전담조직을 설치 운영하는 곳도 15.7%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정보보호 정책과 지침을 수립한 곳은 29.7%, 최고경영자(CEO)의 정보보호 의사결정 참여비율은 40.9%, 정기적으로 보안감사 활동을 하는 곳도 23.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정통부가 지난 3월 부터 두달간 국내 인터넷접속서비스사업자(ISP), 공공·금융·전자상거래 업체, 중소기업, PC방, 학교 등 총 3천563개 기관 및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정보보호 실태를 조사한 결과 밝혀졌다.
특히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의 경우 침해사고 예방을 위한 취약점 점검 도구를 확보한 곳이 8.6%에 그쳤고 정보보호 전담부서에 비전문가인 행정인력을 배치하는 등 실무 인력의 전문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지적됐다.
또 ISP들은 침해사고 예방을 위한 주요 접속지점간 통신량 점검과 주요 설비에 대한 상시적인 접속기록 분석, 사업자간 협력 체계 등이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자상거래 및 중소 기업의 경우 정보보호시스템을 구축한 곳이 각각 46.8%, 27.4%로 정보보호에 대한 기초적인 설비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 것으로 파악됐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