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가계부문 재무건전성이 전반적으로 좋아졌지만, 여전히 가계의 채무 상환 부담이 커 부채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최근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가계부채 위험도에 대한 평가- 미시자료를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가계부문 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했던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해도 낮지 않은 수준이며 최근에도 가계부채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KDI는 “소득 대부분을 생활비와 부채 상환에 쓰는 부채가구의 비중이 작지 않은 수준임을 고려하면 가계부문의 재무구조 개선은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충격에 대비해 여력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KDI에 따르면 2009년 현재 가계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86% 수준으로 개인처분가능소득 대비로는 153%를 기록, 한국의 소득 대비 가계부채 수준은 금융위기의 진원지인 미국, 영국 등 OECD 국가들과 비교해도 낮지 않은 수준이다.
KDI는 “향후 금리 인상 시 가계의 부채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가계의 재무건전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