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뚱하게도 2010년은 ‘통 큰 치킨’의 해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시중 프랜차이즈 치킨 판매가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통 큰 치킨’을 선보인 롯데마트는 이마트 피자에 이어 식품업계를 강타했습니다. 배달은 하지 않고, 하루에 300마리만 한정해 번호표를 받아 다시 방문해야 한다는 제약에도 불구하고, 롯데마트 앞은 새벽부터 번호표를 받으려는 소비자들로 붐볐습니다.
그러나 ‘통 큰 치킨’은 각종 논란에 휘말려 ‘7일 천하’로 일단락되었는데요. 최근 그 후폭풍이 심상치 않습니다. 정치권에서는 ‘치킨이 좀 비싸다’는 발언으로 기존 치킨업체들을 압박하고 있고, 소비자들도 업체에 ‘원가 공개’를 요구하며 항의를 높여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치킨 업계는 ‘얼마 남지 않는다’며 고충을 토로하고 있죠.
안타까운 점은 이러한 논란이 치킨 판매의 중단으로 해결될 일은 아닌 것 같아 보인다는 것입니다.
이미 대형마트의 PB(private brand) 상품은 ‘대형 소매상이 자기 매장의 특성과 고객의 취향에 맞춰 자체 개발한 제품군’ 이라는 취지가 무색하게, 마트의 기존 장악력을 극대화시키는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고 있죠.
이는 중소기업의 생존권을 치명적으로 위협하고 있습니다. ‘양 많고 저렴한’ 이라는 중소기업의 장점마저 대기업이 흡수하는 통에 여러 중소기업의 구성원들은 당장의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습니다. ‘통 큰 치킨’으로 가시화된 이 같은 파워게임은 대기업의 ‘경제논리’, 중소기업의 ‘생존경쟁’, 소비자의 ‘좋은 상품을 싸게 구매할 선택권’ 이 맞물려 매우 미묘한 상황을 연출해내고 있습니다.
유통구조 장악과 대량구매로 가격 조절이 가능한 대기업은 우월한 위치에서치킨의 가격을 대폭 낮출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소규모 개인업체에서는 가격 인하를 ‘안 하는 것’이 아니라 ‘못 하는 것’이라는 이유가 더 컸음이 분명합니다.
2011년은 국가 정책적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적극적인 ‘상생’을 도모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일부 대기업에서는 신입사원들에게 중소기업과의 상생을 위한 마인드를 체득시키는 내용의 교육을 실시할 정도입니다.
그러나 이런 노력들이 결국은 ‘보여주기’ 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양 측이 윈-윈(win-win)하는 진정한 상생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차이를 인정해야 합니다. 대기업은 상생의 진정한 이유를 느끼고, 중소기업은 스스로 가진 장단점이 무엇인가를 파악해 양 측의 접점을 만들어 ‘통큰 상생’이 이뤄지길 희망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위 내용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임슬기
중기중앙회 대학생 블로거(이화여대)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