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을 선언한 대기업들 중 상당수가 지난해 계열사를 1백개 정도 늘린 것으로 나타나 시장경제원칙 및 규제완화 주장이 문어발식 확장을 위한 수단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상호출자 및 채무보증제한을 받는 51개 기업집단소속 계열사가 1천364개로 지난해 4월 1천264개에 비해 100개(8%) 늘었다.
그러나 지난해 4월 발표당시에는 53개 기업집단이 대상으로 1년여 간 2개 기업집단이 제외돼 실질적인 증가폭은 더 클 것이라는 게 중소기업계 입장이다.
공정위는 매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자산총액이 5조원을 넘는 기업집단을 상호출자 및 채무보증제한대상으로 지정하고 매달 이들 기업집단의 계열사 변동내역을 파악하고 있다.
월별 계열사수는 지난해 4월 1천264개에서 8월 1천335개로 늘었으며 3월 현재 1천364개(+4)다.
기업집단 중에서는 롯데 계열사가 16개(60→76)나 증가해 가장 많이 늘었고, SK 14개(75→89), 포스코 12개(48→60), GS(69→78)와 CJ(54→63) 각 9개, 웅진 8개(24→32), 동양 7개(24→31) 등의 순으로 증가했다.
자산총액 1위인 삼성은 계열사가 71개로 작년 4월에 비해 4개 늘었고, 4위인 현대자동차는 42개로 변함이 없었으며 11위인 현대중공업은 5개(16→21) 증가했다.
반면에 금호아시아나가 9개(45→36개) 줄어든 것을 비롯 두산 4개(29→25개), 현대백화점 3개(29→26개), 대한전선이 2개(26→24개) 줄었다.
이에 따라 대기업들이 겉으로는 정부의 `동반성장정책에 호응하는 척하면서 실제로는 문어발식으로 사업영역을 확장, 몸집불리기를 해 온 게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실제로 작년에 일부 대기업들이 중소기업이 대거 참여하고 있는 사업영역에 뛰어들어 사회적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이에 대해 공정위 관계자는 “대기업 계열사가 늘어난 배경에 대해선 좀 더 분석이 필요하다”면서 “중소기업이 주를 이루는 시장에 대기업들이 사업영역을 확장한 결과인지, 경기호전에 따른 정상적인 사업 확장인지 단정 짓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최근 대기업 계열 MRO사와 중소유통업계와의 갈등을 보면 중소기업 영역에 침투한 문어발식 확장이라며 “일단 대기업이 진출하면 물 량공세 및 불공정거래 등으로 해당업종 중소기업들이 고사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