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10년간 가계부문 수입·지출 규모를 분석한 결과, 보건, 교육 등의 소비지출 증가가 전체 증가율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5일 발표한 ‘가계 소비구조 변화와 대응방안’에 따르면 2002~2011년 10년간 가계 가처분소득은 57%(연평균 4.6%) 증가했고, 같은 기간 가계 소비 지출액은 50.2%(연평균 4.2%) 늘었다.
이에 따라 가처분소득에서 소비 지출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는 평균소비성향은 완만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소비지출 중 보건(6.2%), 교육(5.2%)과 산후조리, 보육, 노인복지 등 기타상품·서비스(5.4%) 증가율은 전체 증가율을 웃돌았다. 보건은 고령화에 따른 이용량 증가, 교육은 고등교육과 사교육 물가 상승이 요인으로 작용했다.
식료품을 사는 데 쓴 돈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3.1% 늘었으나 실제 소비량은 오히려 1.9% 줄었다. 관련 물가가 연평균 5.0%나 급등했기 때문이다.
특히 2010~2011년 육류, 채소, 과일 등 농축수산물의 물가가 크게 올라 식료품비 물가는 연평균 7.3%나 뛰어올랐다.
이 기간 식료품비 지출은 연평균 6.4% 증가했지만, 소비자들이 실제로 소비한 양은 0.9% 감소했다.
통신비 지출은 이와 대조적이다. 최근 10년간 이동통신요금을 비롯한 통신비 관련 물가는 2.1% 내렸지만 통신비 지출은 3.9% 늘었다. 스마트폰 등 새로운 통신수단이 보급되면서 사용량이 증가한 덕분이다.
최근 2년간 지출이 많은 분야는 의류·신발, 오락문화,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주거, 식료품 등이었다. 이중 주거와 식료품은 월세, 연료비 및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 증가율을 높이는 원인이 됐다.
소득계층별 소비지출 구조를 보면 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소득 1분위는 지난해 전체소비 지출에서 식료품비와 주거비, 음식숙박순으로 지출 비중이 높았다. 특히 식료품비와 주거비는 다른 소득 분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지출 비중을 보였다.
10년간 추이를 보면 주거비 비중은 15.2%에서 16.4%로 늘었으나 음식숙박 비중은 11%에서 10%로 감소했다. 보건비 비중도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교육비 비중은 8.6%에서 7.4%로 줄었다.
이에 비해 최상위 소득계층인 5분위는 교육, 교통비, 음식숙박, 식료품비 순으로 지출비중이 높았다. 10년간 추이를 보면 교육, 교통의 지출 비중이 증가했고 식료품비 비중은 줄었다. 보건비 지출비중은 1~4분위와 같이 증가했으나 주거비 비중은 감소세를 보였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