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새삼 강조되고 있다. ‘자본주의 4.0’ 논의와 함께 기업들의 성숙한 윤리의식과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2010년 11월 1일에 제정된 ISO 26000은 이러한 흐름속에서 만들어진 기업 등 조직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적 표준 이다. 이 표준은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 NGO 등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조직의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을 규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CSR에서 ‘C’(Corporate)를 뺀 SR로 범위가 확장된 셈이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여러 조직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기업이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ISO 26000은 제3자 인증을 받아야 하는 일반 ISO와는 달리 단순히 지침을 제공하는 것임에도 그 영향력은 대단히 크다. 앞으로 국제무역이나 해외진출 시 비관세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국내적으로도 동반성장, 윤리경영, 정도경영, 환경경영, 투명경영 등에 대한 압력이 거세게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 국제표준이 열거하고 있는 7개 핵심주제 및 240여개의 기대사항(expectations)에 대한 연구와 대비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일부 대기업과 공기업에서는 오래전부터 사회공헌활동을 강화하고 UN Global Compact에 가입하는 등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문제는 중소기업 쪽이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도 초보수준이고, 대처능력도 부족한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지금부터라도 조직의 지배구조, 인권, 노동, 환경, 공정운영관행, 소비자, 지역사회에의 참여와 발전과 같은 7대 핵심과제를 공부해야 한다.

사회적책임 이행 압력 커져

각 과제의 세부 실천항목(기대사항)중 자기 기업의 입장에서 시급히 개선해야 할 내용이 어떤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모든 항목을 충족시키지 못하더라도 가장 기초적인 사항만은 합격점을 받아야 글로벌 사회에서 존립이 가능해진다.
중소기업의 이러한 노력을 효율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하며, 중소기업청을 비롯한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지원활동이 요청된다.
이와 동시에 중소기업인들 스스로의 진취적이고 능동적인 대응자세를 강조하고 싶다. 국제적인 트렌드나 시대 흐름에 대한 이해 없이는 지속적 발전이나 생존이 어려운 환경에 살고 있음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기업 특성에 맞게 실행해야

중소기업이 대기업의 흉내를 낼 필요는 없다. 자기 회사의 규모나 업종에 알맞은 활동을 전개하면 된다. 기부만 많이 한다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 아니다. 산업재해 방지,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처우 문제는 노동과 인권에 관련된 문제인 만큼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녹색성장과 관련하여 에너지의 절약과 효율증대, 탄소배출의 축소와 환경오염방지 등은 환경경영의 첫걸음이다. 부패 및 뇌물수수의 근절은 정도경영의 요체가 된다.
특히 중소기업은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므로 기업시민으로서의 소임을 다해야 한다. 지역사회의 환경보호, 일자리 창출, 교육과 지역문화에의 공헌이 강조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개별기업으로 하기 힘든 활동은 뜻과 힘을 모으는 것이 좋다. 이러한 뜻에서 지난 9월 4일 공익법인으로 문을 연 ‘중소기업 사랑나눔재단’이 ‘9988 사랑나눔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것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제자리를 잡기위해서는 CEO의 확고한 인식과 실천의지가 관건이다. 사회적 책임을 비용이나 부담으로만 생각해서는 발전이 없다. 기업 이미지의 제고와 경쟁력 강화의 계기로 삼아 사회적 기회(Social Opportunity)를 창출하는 값진 투자로 만들어야 한다.
무릇 사회활동에 있어서도 나눔을 베푼다는 교만에 빠지지 말고, 겸손한 자세로 임해야 사회통합에 도움이 된다. 한편 우리 사회에서도 기업의 본질을 이해하고 기업활동을 적극 성원해야 할 것이다. ‘기업’과 ‘사회’가 상생할 때 참다운 경제발전이 가능하고, 자본주의는 또 한 단계 높은 곳으로 진화할 것이다.

최용호
(사)산학연구원 이사장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