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존 해체’최악 위기 모면…기업 체질강화 나설 때 우선, ECB(유럽중앙은행)와 ESM(유럽안정화기구)을 중심으로 한 방화벽 구축에 진전을 보이고 있다. ECB는 새로운 국채매입프로그램에 따라 회원국이 엄격한 요건을 충족할 경우 무제한 국채매입에 나설 계획이다.
회원국 정부가 ESM에 국채매입을 요청하고, 긴축 및 구조개혁의 요구조건을 수용하면 ECB와 ESM이 해당국 국채를 매입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국채매입프로그램이 작동되면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국채금리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8일에 출범한 ESM은 구제금융자금 지원뿐만 아니라 은행 직접지원, 국채매입 등을 수행함으로써 위기 확산 차단에 기여하게 된다.
하지만 ECB와 ESM을 중심으로 구축된 방화벽은 위기확산 차단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긴축 및 구조개혁’의 요구조건을 둘러싼 회원국 간 견해차가 新국채매입프로그램의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한 ESM도 머지않아 재원 부족사태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두 번째는 은행위기를 해소하기 위한 은행동맹이다.
EU는 은행위기 확산을 막기 위해 유로존의 은행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는 작업을 추진 중이다.
EU는 은행 감독권한의 통합에 이어 은행 구조조정기금 설립, 단일 은행예금 보호제도 도입을 통해 은행동맹을 완성할 계획이다. 이러한 은행동맹의 1차 과제로 회원국의 은행 감독권한 통합을 추진하고 있는데, 은행 감독권한의 통합은 ESM의 은행 직접지원을 위한 전제조건이기도 하다.
지난 9월 12일 EU집행위는 2013년 말까지 유로존 내 6,000개 이상 은행의 감독권한을 ECB로 이양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EU집행위의 계획은 독일, 오스트리아 등 회원국들의 반발에 직면해 있다.
은행 감독권한의 통합이 지연될 경우 ESM의 은행 직접지원은 물론 은행동맹의 여타 작업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한다면, 유로존 차원의 방화벽이 가동됨으로써 위기가 확산되는 것을 막아 ‘유로존 해체’라는 최악의 위기는 모면할 전망이다.
그러나 회원국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채무상환능력의 확보가 어려워 불안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상황에서 국내기업들은 유로존 위기로 인한 경영환경 악화에 지혜롭게 대응하여 체질 강화 및 신성장사업 기반 구축에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유럽기업들의 경쟁기업 견제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현지국 정부 및 경쟁업체들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해 조기 대응하는 체제를 갖춰야 한다.
둘째, 신흥국 시장에서 유럽기업과의 경쟁격화가 예상되므로 현지 맞춤형 제품 개발, 신흥국 유망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및 해외직접투자(FDI), 기업 인수 등을 통해 사업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유럽기업들의 군살빼기 전략을 사업기반 확대의 기회로 활용하는 등 유로존 위기를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넷째, 시장 쟁탈전이 격화되는 환경에서 기업이미지가 훼손되면 치명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에 유념하여 윤리경영, 준법경영 등 非시장전략을 강화해야 한다.

김득갑
삼성경제연구소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