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의 1/4을 차지하고 있는 1차(1955~1963년생)와 2차(1968~1974년생) 베이비부머 세대가 2020년부터 65세 이상 실버층으로 진입할 예정이다.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는 자산과 소득 수준이 이전 세대, 즉 현재의 고령층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능동적인 소비주체로서 떠오르게 될 것이다. 이들의 실버층에 진입하면 ‘고령자=가난한 비주류층’이라는 통념이 점차 희석되고, 은퇴세대는 ‘부유하고 활동적이며 건강하게 장수하는’ 소비그룹으로 인식될 것이다.
젊고 능동적으로 살고자 하는 새로운 실버세대의 니즈를 반영하여, 다음과 같은 5가지 ‘젊은 비즈니스’가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프로액티브 케어(Proactive Care) 비즈니스다. 건강하게 장수하는 것이 중요해지면서 육체적 치료뿐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인 안정을 추구하는 사업이 확대될 것이다. 아울러 외모, 질병, 휘트니스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이고 적극적인 항노화의 개념이 확대되어 관련 비즈니스가 급속히 성장할 전망이다.
둘째 원거리 효(孝) 비즈니스다. 실버세대의 독립적 생활을 보장해주고 건강관리를 해주는 상품이 효 비즈니스의 주축이 될 것이다. 안부 확인, 응급 대응 등 인간미가 느껴지는 생활 밀착형 서비스가 IT와 결합되어 제공되고 로봇이 주요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최고의 고령화율을 자랑하는 일본은 이미 IT기술을 이용해 혼자 사는 부모의 가스사용량, 사용시간등의 정보를 자녀에게 제공하여 부모의 안부를 확인시키는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다.
셋째 목적지향 휴(休) 비즈니스다. 단순한 휴식을 넘어 목적 있는 휴식, 관찰자에서 주도자로 참여하는 방향으로 여가상품이 확대될 것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과 함께 여행하면서 역사, 지역 문화, 음악 등을 체험할 수 있는 상품이 등장하고, 실버층 스포츠클럽도 증가할 전망이다. 실버층을 대상으로 하는 미국의 ‘로드스칼라’ 프로그램은 여행과 교육을 결합한 상품으로 이미 미국내 50개주와 세계 150개국에서 6,500개의 여행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넷째 베풂 지원 비즈니스다. 은퇴 후 전문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 능력, 지식 등을 지역사회와 나누려는 욕구가 확대되면서 이를 지원하는 사업이 발전할 것이다. 은퇴한 대기업 고위간부로 구성된 일본의 경영지원 NPO클럽은 지역 중소기업에게 지식과 경영노하우를 전수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스마트실버 비즈니스다. 디지털기기에 익숙한 베이비부머 세대는 아날로그적 감성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어 디지로그(Digilog)의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따라서 편의성은 물론 감성적 위안을 주는 IT 상품에 대한 실버세대의 수요가 확대되고 실버세대를 위한 SNS 및 온라인 쇼핑몰 등이 활성화될 것이다.
국내 실버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국내 실버산업은 아직 걸음마 단계인 실정이다. 따라서 기업은 고령화를 비즈니스 기회로 인식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2035년경에는 세계 실버층의 약 30%가 한·중·일 3국에 거주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지리적 특성과 문화적 공통점을 활용해 동아시아 실버시장 진출을 강화해야 한다. 실버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R&D, 제조, 유통, 판매 등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 정부정책과 연계한 실버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정근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