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남성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사회 각 분야에서 여성의 경쟁력이 높아진 데 따른 것이다. 경제활동참가율은 대상 연령대 인구 중 경제활동(취업 또는 구직)을 하는 인구의 비율을 뜻한다.
통계청과 고용노동부가 지난 7일 밝힌바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2.9%로 20대 남성(62.6%)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10년 전인 2002년만 해도 20대 경제활동참가율은 남성이 70.9%로 여성(61.1%)보다 10%포인트 가까이 높았다. 하지만 그 뒤로 여성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진 반면 남성은 하락세를 이어왔다.
경제성장 속도가 둔화하면서 일자리 증가폭이 크지 않은 가운데 여성의 취업 경쟁력이 크게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미 대학 진학률은 4년 전부터 여성이 남성을 추월한 상태다. 여성의 대학 진학률은 2009년 82.4%로 남성(81.6%)을 앞지른 뒤 지난해까지 4년 동안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여성의 자기계발 욕구가 커지고 결혼과 출산이 늦어진 것도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아진 원인이다.
그러나 출산·육아 부담이 커지는 30대에서는 여성 경제활동이 30대 남성의 60% 수준으로 추락했다.
지난해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6.0%로 30대 남성(93.3%)보다 37.3%포인트 낮았다. 30대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2002년 95.1%에서 작년 93.3%로 소폭 하락한 동안 여성은 54.6%에서 56.0%로 상승했는데도 격차는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런 경력단절이 40대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전체 여성의 임금은 남성의 60% 수준에 그치고 있다.
지난 2011년 기준으로 여성의 월급여액은 154만8000원으로 남성(244만4천원)의 63.3%에 그쳤다. 한국의 남녀 임금격차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대다.
이에 따라 여성의 경력단절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육 시스템을 촘촘히 짜고 출산휴가제도를 활성화하는 등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