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문화서비스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했지만 내수시장이 작아 추가 성장이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김필수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지난 21일 ‘문화서비스 산업의 특징과 발전 과제’라는 보고서에서 “한국의 문화서비스 교역 및 내수 시장 순위는 세계 10위권에 해당하지만 절대 규모 비교 시에는 여전히 미흡하다”며 “향후의 순위 상승은 더욱 어려울 전망”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문화서비스 교역이 최초의 흑자 전환을 달성했다. 문화서비스 산업의 수출액은 약 12억5260만 달러, 수입액은 약 11억6710만 달러를 각각 기록하며 8550만 달러 상당의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 2003년 문화서비스 수출액이 1억3000만 달러, 무역수지 적자가 1억9000만 달러 규모였던 것을 감안하면 놀라운 발전이다.
특히 지난 10년 동안 문화산업의 성장은 비약적이었다. 꾸준한 수출 증가에 따라 2000년 내수에 비해 수출 규모가 적었던 내수중심형에서 내수와 수출이 동시에 늘어나며 동반성장형(2010년)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0년 한국·중국(교역규모 34위)·일본(교역규모 31위) 동북아시아 3국이 내수중심형이었으나 유일하게 한국만이 동반성장형으로 변화됐다.
연구원은 드라마·영화·음악 등을 포함한 음향·영상 서비스, 기타 문화·오락 서비스는 전체 수출의 92.9%(2012년)를 차지하는데, 이 중 음악 수출액이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연평균 55.4%나 증가하며 수출 증대를 견인한 것으로 봤다.
한국은 또한 주요 제조업 기반 수출국 가운데 문화서비스의 수출 상품화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로 부상했다.
제조업 중심의 수출 국가들이 문화서비스 수지에서 적자를 지속해 온 것과 달리 문화서비스의 무역특화지수와 전체 상품 및 서비스 수출 대비 문화서비스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로 성장한 것이다.
문화서비스 수출 순위는 세계 30위에서 14위로 급상승했으며 교역 규모도 세계 19위에서 10위로 튀어 올랐다. 음악과 방송의 경우일본과 동남아 수출 비중이 높지만 유럽과 북미지역에 대한 수출도 급증하고 있다.
보고서는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문화서비스 교역 규모의 증가와 수출 비교우위를 모두 달성한 사실상 유일한 사례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문화서비스 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를 더욱 높이고 수출 품목을 다변화시키는 등의 질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보고서는 소개했다. 한국의 내수시장이 절대 규모에서 작기 때문에 문화서비스 교역이 세계 5위권까지 진입하기는 어려운 규모의 한계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김 선임연구원은 “다양한 장르, 콘텐츠 생산 시도가 시장이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이라면 문화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문화산업이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성장하기 위해 고부가가치화·장수 기업 육성 등 산업의 질적 향상과 수출 지역 및 품목의 다변화 등을 강조했다.
또 소비자들이 직접 문화서비스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크라우드 펀딩의 활성화, 문화와 제조업제품 간 융합상품 개발 등도 대안으로 제시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