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항로 활성화 … 부산항 최대 수혜 전망


 

최근 북극의 얼음이 예상보다 빠르게 녹으면서 여름철 얼음면적이 관측 사상 최저치 341만㎢(동계 최고치의 22%)로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북극의 항로와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북극의 연안국과 글로벌 자원기업들의 북극 진출이 경쟁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마침 한국도 2013년 5월에 북극위원회 영구옵저버로 승격됐기 때문에 현시점에서 북극개발의 기회와 장애요인을 살펴보고 대응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기존 항로에 비해 거리는 30%, 시간은 6일 이상 단축되는 북극항로는 최근 2년간 물동량이 아홉 배 늘어나며 한국 조선·플랜트 산업의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특히 극지운항용 특수선박 건조에서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고 있는 한국 기업들에게 특수 쇄빙선 발주가 줄을 잇고 있다.
한편 북극항로의 길목에 위치한 한국 항만도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맞이하고 있는데, 이미 세계적 수준의 허브 항구인 부산항이 북극항로의 최대 수혜자가 될 전망이다.
세계 석유·가스의 22%, 다량의 고부가 광물, 세계 수산자원의 37%를 차지하는 북극자원은 한국기업에 또 다른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한국정부는 그린란드와 자원개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을 뿐만 아니라 캐나다 우미악 유전의 지분 20%을 구입해 북극자원 개발의 발판을 마련했으며, 러시아는 한국과의 북극자원 공동개발에 대해 적극적인 입장이다.
또한 한국기업은 세계 최초의 극지용 쇄빙유조선과 드릴십을 건조하는 등 극지 자원개발용 해양플랜트 분야에서도 앞선 기술력으로 새로운 사업기회를 맞고 있다. 그러나 북극개발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북극의 특수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장애요인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북극개발의 장애요인으로는 영유권 분쟁, 고비용, 환경문제, 신규 경쟁자원 등이 있다. 최근 북극개발이 현실화 되자 대륙붕 연장과 해양경계 획정을 통해 자국의 배타적 경제수역을 확장해 보다 많은 자원을 확보하려는 연안 5개국의 영유권 분쟁이 가열되고 있다.
또한 북극 지역의 기후적 악조건을 감당할 수 있는 플랜트 및 운송 설비 마련을 위해 막대한 추가비용이 발생하고 있으며 북극의 환경보호에 대한 국제적 관심으로 북극개발 반대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고비용과 환경문제로 인해 최근 BP, 스탯오일, 쉘, 토탈 등 글로벌 자원메이저들이 북극해 자원개발 사업을 중단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비전통에너지 자원의 공급이 가속화돼 상대적으로 고비용인 북극 자원개발의 경쟁력이 위협받고 있다. 일례로 러시아의 슈토크만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가 셰일가스의 등장으로 2012년에 중단됐다.
무한한 기회와 동시에 장애요인이 있는 북극은 그 경제적 매력에 앞서 무엇보다 인류가 공동으로 보호해야 할 대상이다. 따라서 북극의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동시에 경제적으로 활용하는 ‘투트랙(Two-Track)’ 전략이 필요하다.
연안국들의 배타적 독점을 견제하고 북극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북극위원회 영구옵저버 역할을 강화하는 동시에 북극조약과 같은 글로벌 거버넌스를 유도해야 한다. 한편 북극개발의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장애 요인이 존재하는 자원개발보다는 상업적 개설이 임박한 북극항로 부문에 먼저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운항을 지원할 컨트롤타워를 마련하고 허브 항구의 경쟁력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자원개발에 섣불리 나서기보다는 한국이 비교우위를 가지는 자원개발용 플랜트의 기술 격차를 벌리고, 유리한 물류상의 입지를 활용해 러시아, 노르웨이 등 연안국과의 자원 물류 파트너십을 구축해 안정적인 자원개발의 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대식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전문위원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