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중반부터 지속된 50대 연령층의 취업자 증가세는 고용시장 여건이 좋아서가 아니라 베이비부머 세대가 50대에 새로 진입하면서 생긴 효과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기획재정부(장관 현오석)는 최근 이같은 내용의 ‘50대 고용동향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최근 50대 취업증가가 연령대 이동 요인에 기인했다고 분석했다.
가령 올해 상반기 50대 고용증가 수가 22만5000명인데 여기에는 지난해까지 49세였던 취업자가 50대로 진입하면서 50대 취업자 수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연령대 이동 요인의 규모는 지난 2005년을 기점으로 40대였던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취업자가 50대로 진입함에 따라 크게 확대됐다.
반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성장 흐름이 지속되면서 조기퇴직 관행이 심화돼 50대의 고용시장의 여건은 위기 이전으로 회복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 50대 고용을 보면 제조업, 교육서비스업은 취업자 비중이 증가했지만 농림어업 분야는 취업자 비중이 감소했다.
50대의 상용직과 임시직 비중이 2000년대 중반부터 늘어난 것도 40대 취업자가 50대로 진입한 연령대 이동효과 때문으로 분석된다.
기재부는 연령대 효과에 따른 50대 취업자의 증가 추세가 2015년 이후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베이비부머의 50대 이탈이 1955년생을 시작으로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50대 이상 연령층의 고용시장 요인을 개선하려면 전직·재취업 강화,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등 다양한 정책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도희 기자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