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향후 5년간 ICT 분야의 전략과 방향을 제시했다. 5년간 8조5000억원을 투입해 생산유발 12조9000억원, 부가가치 창출 7조7000억원, 일자리 18만개 창출 등의 효과를 거두겠다는 전략이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향후 5년간의 연구개발 정책과 방향을 담은 ‘ICT R&D 중장기 전략’( ICT WAVE 전략)을 지난 23일 발표했다.
미래부는 향후 5년내 기술 상용화율 35%(현재 18%), ICT R&D 투자생산성 7%(현재 3.42%), 국제 표준특허 보유 세계 4위(현재 6위)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콘텐츠(C), 플랫폼(P), 네크워트(N), 디바이스(D), 정보보호(S) 등 5개 분야에서 10대 핵심기술을 개발해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점해 나갈 방침이다. 10대 핵심기술은 홀로그램·개방참여형콘텐츠(콘텐츠), 지능형소프트웨어·사물인터넷·빅데이터(플랫폼), 5G이동통신·스마트네트워크(네트워크), 감성형단말·지능형ICT모듈(디바이스), 사이버공격 대응기술(정보보호) 등이다.
또한 10대 핵심기술을 근간으로 △하이퍼넷 △미래광고 △스마트 먹거리 안심 등 15대 대표 미래서비스를 선정해 중점으로 구현한다.
미래부는 R&D 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SW R&D투자를 확대하고 공개 연구 강화, 기초·원천 SW분야 연구 확대 등 특성에 부합되는 R&D전략을 추진한다.
R&D성과 확산를 위해 ICT R&D 기획, 평가·관리, 사업화에 이르는 모든 주기에서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했다. 기획 단계에서는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R&D과제 선정을 위해 ICT 분야별로 민간기업 협의체를 구성해 의견을 수렴하며 국민 오디션형 R&D 기획을 통해 국민의 아이디어를 R&D로 반영하는 과정을 추진한다.
특히 중소기업 주관 R&D 비중을 2017년에 32%(2013년 22.7%)까지 높여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R&D를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평가·관리 단계에서는 평가위원의 전문성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고, 사업화가 목적인 R&D에서는 연구기간의 6분의 1 이상을 사업화 지원기간으로 설정토록 할 방침이다.
사업화 단계에서는 R&D 결과물을 사업화하기 위한 추가R&D (R&BD)를 지원하고, 기술 가치평가 및 거래기반을 구축하며, 다부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성과 확산을 촉진하기로 했다.
누구나 ICT 제품·서비스를 스스로 개발할 수 있는 ‘ICT DIY(do-it-yourself) 플랫폼’ 보급을 촉진하고, ICT 공공 표준화도 강화할 예정이다.
미래부는 내년 2월 ICT 특별법에 근거해 총리실에 설치되는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산하에 ‘정보통신융합 전문위원회’를 구성, 범부처 과제를 발굴하고 의견 조율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ICT R&D 전 주기에 걸쳐 지원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전담기관인 정보통신기술진흥원을 재구성하는 방안을 기획재정부 등과 협의해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미래부는 이 같은 전략을 △세계 최고의 ICT 경쟁력 확보(World best ICT) △획기적인 연구 환경 개선(Activating R&D ecology) △산업적 성과 창출(Vitali zing industry) △국민 삶의 질 개선(Enhancing life) 등 4가지 비전의 앞글자를 따 ‘ICT 웨이브(WA VE)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