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특허·디자인 등 전문가의 교육을 받은 창업기업의 생존율이 그렇지 않은 창업기업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최근 늘고 있는 ‘생계형 창업’의 실패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창업교육을 대폭 확대하고 창업 유형별로 세분화된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창업 전 철저한 준비가 생존 ‘열쇠’
최근 중소기업진흥공단(이사장 박철규)에 따르면 ‘청년전용창업자금’ 사업을 통해 일대 일 창업 멘토링과 컨설팅을 지원받은 창업기업 1169곳의 3년차(2년이상) 생존률은 98.1%에 달했다. 국세청 휴·폐업 조회 시스템을 통해 올 1분기까지의 기업활동 여부를 전수조사한 결과다.

2012년 처음 중진공의 지원을 받은 창업기업 1169곳 중 올해까지 22개사(1.9%)가 문을 닫았고, 지난해 지원을 받은 창업기업 1037곳 중에서는 11개의 업체가 2년차인 올해 폐업을 신고해 1년이상 생존율이 98.9%에 달했다.

통계청이 작년말 조사발표한 전체 창업기업의 평균생존율이 1년이상 61.3%, 2년이상은 48.4%인 것을 감안하면 창업 교육을 받은 기업의 생존율이 2배 이상 높은 것이다.

전문가들은 생존율의 차이를 만든 결정적인 이유로 ‘창업교육의 효과’를 꼽았다. 중진공의 청년전용창업자금 사업이 최대 1억원의 기초사업자금 지원을 포함하기는 하지만 전체 창업기업의 평균 창업사용자금이 2억2000만원(중소기업청 창업기업 실태조사)인 것을 감안하면 초기 자금지원 여부가 장기 생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어렵다는 것. 오히려 명확한 창업목표 설정에서부터 재무관리, 입지선정, 판로개척에 이르는 단계별 교육을 제공한 효과가 더욱 크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서울신용보증재단 역시 2006년부터 예비창업자들에게 창업교육을 필수 이수토록 한 결과, 창업기업의 4년차 생존율(2008~ 2011년)을 78.26%(일반기업은 35.1%)까지 끌어올린 바 있다.

숙박·음식점 5년 생존율, 18%
반면 ‘치킨집’ 등 생계형 창업의 경우 1년 만에 절반 가량 폐업하고 5년 후면 10곳 중 8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부좌현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중소기업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생계형 창업의 증가로 인해 자영업자들의 창업 5년 후 생존율은 숙박·음식점 17.7%, 도·소매업 26.7%로 10곳 중 2곳 가량만 문을 닫지 않고 살아 남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표적인 생계업 창업인 숙박·음식점업의 경우 창업 1년 후면 절반이 조금 넘는 55.3%만 영업했고 3년 후면 28.9%로 급감했다. 5년 후면 그 비율은 17.7%로 뚝 떨어졌다. 도소매업은 창업 1년 후 생존율은 56.7%, 3년 후 35.8%이고 5년 후에는 26.7%다.

그나마 생존율이 가장 높은 업종으로는 자신의 원룸·상가 등을 임대해 수익을 올리는 부동산·임대업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업종은 5년 뒤에도 절반가량(46.5%)이 사업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 자영업자 비중은 다소 감소하고 있으나 베이비 붐 세대 은퇴 등으로 과잉진입 상황이 계속 발생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대비 1.8배인 28.2%에 달한다.

한편 지난 7월 국제 조사기관인 ‘세계 기업가활동 모니터’에서도 “한국의 42개월 미만 초기 창업 가운데 생계형 창업 비중이 36.5%를 차지했고, 소득수준을 더욱 높이기 위한 기회추구형 창업은 51%”라고 밝혔다.

부좌현 의원은 “자영업자들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창업 유형별로 세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