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담보나 보증이 아닌 기술가치를 평가해 대출해주는 기술신용평가 기반 대출을 올해  20조원 규모로 신규 공급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위원장 신제윤)는 최근 “지난해 7월 시행된 기술신용평가 기반 대출이 매달 증가세를 보여 지난해 당초 전망치(7500건)의 배 수준인 1만4413건, 8조9000억원을 기록했다”며 “올해는  3만2100건, 20조원 수준을 설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 실적을 연 환산으로 변환한 수치인 2만9000건, 17조8000억원 대비 10% 증가한 규모다. 기술신용평가 기반대출은 지난해 10월부터 급증세를 보여 10월 3020건 1조7000억원, 11월 3694건 2조3000억원, 12월 4484건 3조원으로 늘어났다.

대출유형별로는 은행권 자율대출이 6조2000억원(8457건)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온렌딩 대출 1조4039억원(1084건), 기보 보증부대출 1조3208억원(4872건) 등 순 이었다.

은행별 대출실적을 보면 기업은행이 2조2165억원(406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신한은행(1조7360억원), 우리은행(1조3123억원), 하나은행(1조183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금융위는 올해도 기술신용평가를 통해 재무 여력이 부족하지만 기술력이 우수한 창업기업 등에 대한 신용대출이 확대되도록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 기술기반평가에 따른 대출 부실률 등 정보를 집적하고 양적·질적 지표를 균형 있게 반영해 기술금융의 총량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운영상 내실을 다져 나가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평가 결과 우수 은행에 대해서는 신·기보 출연료나 산업은행의 정책금융 지원 때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한편 금융위는 기술신용평가 기반 대출의 실질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일반 중소기업 대출보다 건당 평균 대출금액이 3억8000만원 늘었고 대출금리는 0.38%포인트 낮아지는 효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업종별 지난해 기술신용평가건수는 제조업이 72%,  IT 등 기술서비스업 13%, 건설·인프라사업 5% 등 재화·서비스 생산에 통상적으로 기술이 수반되는 업종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등급별로는 10단계 기술등급 체계 중 상위 6단계가 대출의 87%를 차지했고, 대출 성질별로는 신용대출이 80%(부분신용대출 포함), 창업기업 대출이 50%, 신규거래기업 대출이 35% 비중을 차지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