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이후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성장한 기업이 100만개 중 7개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이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우리나라 기업의 역동성 저하 점검’ 보고서를 지난 5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기업규모 간 이동성이 낮고 기업교체율과 일자리재배치율이 떨어지는 등 기업 역동성 저하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는 2000년~2012년 전국 사업체 전수조사 자료를 토대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중소기업에서 중견·대기업으로 성장한 사업체수 비율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머물러 있었다.

300인 미만 중소기업이 1000명 이상 대기업으로 성장한 사업체 비율은 △제조업 0.0007% △서비스업 0.0009%에 불과했다. 중소기업이 300~500명 규모의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비율도 △제조업 0.06% △서비스업 0.02%에 그쳤다.

반면 50인 미만의 사업체가 300인 미만 규모로 성장한 비율은 △제조업 0.4% △서비스업 0.1%로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됐다.

전반적인 기업이동성 지수도 감소추세를 보였다. 기업이동성 지수는 기준 연도에 특정 기업규모 계층에 속한 기업이 다음 연도에 어떤 기업규모 계층으로 이동하는지를 산출한 비율을 말한다.

△제조업의 경우 2001년 0.46에서 2012년 0.34 △서비스업은 2001년 0.51에서 2012년 0.38로 하락세를 보였다.

제조업·서비스업의 기업교체율과 일자리재배치율도 계속 낮아지는 추세다. 기업교체율은 기업 진입률과 퇴출률의 합을 의미하고, 일자리재배치율은 일자리 창출률과 일자리 소멸률의 합이다.

기업교체율의 경우 △제조업은 2002년 30%→2011년 19% △서비스업은 35%→24%로 감소했다. 일자리재배치율도 △제조업 2002년 49%→2011년 31% △서비스업 2002년 62%→2011년 36%로 하락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진입규제 완화를 통해 신규 기업의 진입율을 높이고 좀비기업은 시장압력을 통해 퇴출시키는 경쟁 체계가 활성화돼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