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소비가 크게 위축된 가운데 50대 이상 중년층이 허리띠를 크게 졸라매고 있다. 최근 11년간 60세 이상 가구주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이 모든 연령층 가운데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지난 10일 발표한 지난해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평균 소비성향은 72.9%로 지난 2003년 첫 조사 때의 77.9%보다 5%포인트 하락했다. 가구주의 나이를 기준으로 보면 연령대가 높을수록 소비성향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60대 이상의 경우 소비성향이 2003년 81.1%에서 지난해 69.6%로 11.5%포인트 하락, 전체 연령층에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50대(50∼59) 가구의 소비성향은 같은 기간 75.4%에서 69.7%로 5.7%포인트 떨어져 60세 이상 다음으로 하락폭이 컸다.

특히 50대 가구의 지난해 소득(495만7000원)과 처분가능소득(396만9000원)은 전체 연령층에서 가장 많았지만 소비성향은 60대 이상 가구와 함께 70%를 밑돌아 이들의 소비 위축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비해 40대 가구의 소비성향은 같은 기간 79.8%에서 76.5%로 3.3%포인트, 39세 이하 가구주 가구는 76.2%에서 73.4%로 2.8%포인트 각각 떨어져 평균보다 낮은 하락폭을 보였다.

평균소비성향은 쓸 수 있는 돈인 처분가능소득에 대한 소비 지출의 비율로 이 지표가 하락한 것은 소비 비중을 줄이고 저축 등 흑자 비중을 늘렸다는 의미다.

연령별 소비성향은 대체로 소득 수준이 높지 않은 20∼30대에 높았다가 상대적으로 고소득을 얻는 40∼50대에 저축 증가로 낮아지고 노년으로 접어들면서 다시 높아지는 ‘U’자 형태를 나타내지만, 우리나라는 40대를 정점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결과가 취약한 연금 및 사회보장 시스템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 관계자는 “50~60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