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제조업 혁신 3.0 전략’ … 2020년까지 1만곳 육성해 10년내 수출 1조달러 달성

▲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지난 19일 오전 청와대에서 제7차 무역투자진흥회의가 열리고 있다.

정부가 2017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총 24조원을 투입해 스마트공장을 확산하고 스마트 제조기술을 개발하는 등 스마트혁명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지난 19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7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제조업 혁신 3.0 전략’의 실행대책으로 4대 분야 13개 과제를 선정해 추진할 방침이라고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20인 이상 中企 스마트공장 육성
산업부는 먼저 2017년까지 민간 22조원, 정부 2조원 등 총 24조원의 혁신형 투자를 끌어내 경제활력을 높이고 2024년까지 수출 1조달러를 달성해 제조업 수출 4위를 달성한다는 복안이다.

우선 스마트 공장의 확산을 위해 2020년까지 민·관 공동으로 1조원의 재원을 마련, 공장 1만개의 스마트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인 이상 중소·중견기업의 공장 중 3분의 1가량을 IT기반의 생산관리를 갖춘 스마트공장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스마트공장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제조 현장과 결합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래형 공장이다.

정부의 구체적 확장 목표는 올해  1000개, 2017년에 4000개를 만들고, 이를 확산해 2020년에는 전국 중소·중견기업에 1만개의 스마트공장을 만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기업 주도로 협력사·지역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해 업종별 가치사슬 스마트화를 추진한다. 올해 전자업종(삼성·LG) 120개, 자동차(현대차) 100개, 기계(두산·효성) 50개, 패션(제일모직) 25개 등 8개 업종에서 350개 이상의 협력업체가 스마트공장으로 탈바꿈하도록 지원한다.

300억원 규모 펀드 조성
2017년까지 사물인터넷(IoT) 등 8대 스마트제조 기술의 연구개발(R&D)에 민·관 공동으로 1조원을 투입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올해는 300억원 규모의 제조-IoT 펀드를 조성해 투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8대 스마트 제조기술간 유기적 연계와 전략적 투자를 위해 미래부와 산업부가 ‘스마트 제조 R&D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고, 미래 성장동력 분야에서는 2017년까지 어군탐지용 무인기 등의 조기 제품화를 통해 150억달러 규모의 신규 수출을 창출할 계획이다. 

또 2023년까지 미래 성장동력에 민관합동으로 5조원의 R&D 투자를 진행함으로써 2014년엔 수출 1000억달러 규모의 신산업으로 키워나가기로 했다.

공장없는 제조업 창업 허브 구축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업전주기를 원스톱 지원하는 지역별 특성에 맞는 공장없는 제조업 창업의 허브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교육·특허전략 등 지역별 특화 창업 프로그램 제공 등 아이디어 사업화 원스톱 서비스 및 기술사업화를 지원키로 했다. 

2020년까지 민·관 공동 1조원 규모 재원을 조성해 1만개 공장의 스마트화 추진 수요가 높은 공정·업종을 중심으로 가상 운영환경과 실제공장이 연계된 업종별·수준별 다양한 모델공장 구축 및 확산하기로 했다.

융합 신제품의 조속한 출시를 위해 인증처리 기간을 6개월에서 3개월로 단축하고 무인기 등 혁신제품에 대한 사전 검증을 할 수 있는 시범특구도 조성키로 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