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상용 (한국이벤트산업협동조합 이사장·한림대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이벤트산업에 또 하나의 악재가 터졌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이 확산되면서 각종 ‘행사취소’가 잇따르고 있다. 매년 하나의 통과의례가 된 것처럼 지난해에 이어 업계는 거의 패닉상태이다.

6월5일 개최 예정이었던 ‘삼성그룹 신입사원하계수련회’의 개최연기 결정이 내려졌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주최하는 행사 역시 거의 취소결정이 내려졌다. 심지어 국제도서전 등 국제행사도 연기 또는 취소가 잇따르고 있다.

이벤트 회사는 물론 시스템, 디자인, 인력, 공연 등 회사들의 피해가 엄청나다. 지난해 세월호 사고의 충격을 딛고 서서히 회복단계에 있던 터라 그 충격이 더하다. 관계자들은 망연자실 그 자체다.

6월 행사는 물론이고 7월에 개최되는 행사도 ‘행사취소’가 있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젠 할 말도 없다며 거의 포기상태이다. 기업행사가 살짝 살아나는 듯한 분위기에서 메르스가 그 의지를 완전 꺾어 버린 것이다.

사실 피해도 피해지만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막막하다. 전염병이 나도는데 하지 말라 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계속 직접적 피해를 받아야 하는 업계 속성상 막막하기만 하다. 자금지원 등의 방법이 있지만 이것도 ‘빚’이지 원천적 해결방안은 아닌 것이다.

사실 이런 경우가 처음은 아니다. 신종플루, 천안함 폭침, 전직 대통령 서거 등 사회적 이슈가 터질 때마다 우선 조치하는 것이 ‘행사취소’다. 일단 ‘행사’라고 하면 유희적 요소를 우선시하기 때문에 일단은 없애고 보는 것이다. 그나마 지자체나 국가단체 같은 경우에는 약간의 진행과정에 대한 정산을 해주기 때문에 그나마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

그러나 국가계약법이나 지방자치단체계약법을 적용받지 않는 경우에는 규정이 없어 분쟁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분쟁이 발생되더라도 ‘갑’의 결정이 따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불합리하더라도 거래 관계를 생각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혼자 피해를 안고 가는 경우가 허다하다.

보통 하나의 행사를 치르려면 최소 10여개사, 50여명에서 100여명의 인원이 동원된다. 또 규모가 큰 행사인 경우에는 수백명 이상이 행사 진행을 위해 일을 하게 된다.

이벤트 회사의 정규직 이외에도 계약직 혹은 일용직 등으로 고용창출이 큰 업종이다. 박근혜 정부에서 제창하는 창조산업에 가장 어울리며 낙수효과가 뛰어난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행사취소에 따른 직접적 피해는 고스란히 청년층 고용에 영향을 미친다. 직접적으로 피해를 받는 이벤트 회사와 이벤트 관계사(무대, 음향, 조명, 영상, 디자인, 공연, 인력 등)도 문제지만 일부 계약직이나 비정규직으로 참여하는 인력들의 피해를 따지자면 이루 말할 수 없다.

여행업계와 이벤트업계는 사회적으로 불안하거나 사회적 이슈에 민감한 국가에서는 하이리스트, 로우 리턴(High Risk, Low return)의 대표업종이자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탄을 안고 사는 대표적인 산업인 듯하다.

국가에 대형사고 혹은 긴급 상황이 발생되면 사회적 시스템으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업자들만 고통 분담해야 하는 상황이 안타깝다. 이벤트산업, 여행산업 등은 또 다시 끝이 보이지 않는 터널에 진입을 한다. 부디 이번에는 이 터널이 짧기만을 바랄뿐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