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월 경북 포항시 남구 포스텍에서 열린 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을 마친 뒤 IT기반 차세대의료영상장치를 체험하는 모습. 박 대통령은 서울과 세종을 제외한 15곳의 창조센터 출범식에 직접 참석하는 등 창조경제의 자리매김을 위한 핵심 동력으로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에서는 창조센터 관련 장밋빛 전망을 연일 내놓고 있지만 성과물에 대한 성급한 기대를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특히 정부가 지역 곳곳에 창조센터를 만들어놓기는 했지만 정작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아는 사람이 많지 않아 대중적 공감을 얻기도 힘들다는 지적도 있다.

지난 대선 때 박근혜 대통령의 싱크탱크 역할을 했던 국가미래연구원이 지난 6월에 낸 ‘2015 주요 정책효과 체감 조사결과 보고서’를 보면 지역별 혁신센터의 정책 인지도는 크게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이 19∼49세 남녀 1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지역별 혁신센터를 ‘매우 잘 알고 있다’거나 ‘약간 아는 편’이라 답한 사람은 26.7%에 불과했다. 반면 ‘전혀 모른다’‘별로 알지 못하는 편’이라고 답한 이는 73.3%에 달했다.

지역별 창조센터가 창조경제 실현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를 묻는 질의에는 응답자의 64.2%가 ‘전혀 그렇지 않을 것’‘별로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답해 부정적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언론을 통해 지역별 창조센터가 지방에서 일어나는 창업 열기를 끌어안을 수 있는 곳으로 비쳐지고 있지만 정작 창업 초기기업으로 불리는 ‘스타트업’ 보육 지원 비율은 높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병헌 새정치민주연합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6월2일 출범한 전남 혁신센터 등 기존에 구축된 12개 센터가 보육을 지원한 예비창업기업과 1년 미만 창업기업수는 48개에 그쳤다. 이들 센터 중 예비창업 기업을 유치하지 못한 곳도 전체 절반인 6개에 달했다.

이에 대해 고경모 미래부 창조경제기획국장은 “혁신센터의 역할은 예비창업자와 창업기업 보육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중소·중견 기업의 혁신 지원에도 있다”며 “초기 창업 측면에 집중된 면이 있지만 센터의 역할이 중소·중견기업 혁신 지원으로 확대된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창조경제는 경제의 체질을 바꾸는 작업”이라며 “성급하게 성과물을 기대하고 독촉하면 정부든 기업이든 당장 눈앞에 보이는 성과물을 만들기 위한 단기처방에 급급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단기처방으로는 눈에 보이는 작은 성과를 낼 수는 있지만 진정한 체질변화를 만들 수는 없다”고 단기 성과주의에 대한 문제를 짚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