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곳 혁신센터 구축 마무리

지난달 22일 인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개소하면서 지난해 9월 대구를 시작으로 310일 간 이어온 지역별 혁신센터 구축 작업이 마무리됐다.

박근혜 정부 출범 후 한국 경제의 체질을 바꾸겠다며 시작한 창조경제 정책. 제조업, 농업, 문화산업 등 기존 산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해 산업의 혁신을 통해 우리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고, 스타트업(신생벤처)들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사업화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게 창조경제의 골자다.

특히 주요 시·도에 자리한 17개 혁신센터는 현 정부가 ‘창조 경제’를 구현할 거점으로 지역별로 구축한 만큼 창조경제의 ‘아이콘’으로 볼 수 있다.

기존산업-ICT 융합이 핵심
창조센터는 지역 주도로 선정된 특화 전략산업 분야의 중소·중견기업 성장 및 글로벌 진출을 위한 기관·프로그램을 연계·총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게 목표다. 온라인 창조경제타운과 연계해 지역 인재의 창의적 아이디어 사업화를 통한 창업을 지원하는 ‘창업허브’의 역할도 담당한다.

지역내 근거를 둔 대기업을 중심으로 지역 내 경제단체, 기업, 대학, 연구소, 지방자치단체 등 지역 경제발전을 선도하는 기관들이 함께 발 맞춰 움직이도록 해 수도권에 집중된 경제활동을 지역으로 분산하는 것은 물론 각 지역 특화산업의 혁신을 지원하는 복안도 함께 갖고 있다.

창조경제 정책을 총괄 지원하는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창조센터는 지역내에서 창업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굳이 서울까지 오지 않고 가까운 곳에서 자금과 기술, 사람들간의 네트워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공간의 의미”라며 “전국 곳곳에서 창업할 수 있고, 전국에서 지역 특화산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할 수 있도록 지원이 활발히 이뤄지면 창조경제가 자리를 잡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창조센터의 출발 테입을 끊은 것은 삼성그룹(삼성전자)의 대구센터다. 이어 대전(SK), 전북(효성), 경북센터(삼성)가 잇따라 문을 열었다.

올 들어서는 광주(현대차), 충북(LG), 부산(롯데), 경기(KT), 경남(두산), 강원(네이버), 충남(한화), 전남(GS), 제주(다음카카오), 세종(SK)에 이어 지난달 서울(CJ), 울산(현대중공업), 인천(한진) 등 총 17개 창조센터가 문을 열고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가시화된 성과도 ‘속속’
아직 걸음마 단계이지만 의미있는 성과들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미래부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으로 지역별 혁신센터의 보육 지원을 받는 7년 미만 창업기업수는 250개로, 올 1월 45개보다 5배 이상 늘어났다.

센터의 지원을 받는 7년 이상 중소기업도 125개사로, 멘토링과 컨설팅, 시제품 제작지원 건수가 최근 6개월간 각각 5배 이상씩 증가했다.

전담 대기업이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상품 개발과 판로 확보, 해외시장 진출을 도운 사례도 늘어나 작년 9월부터 기술지원 57건, 자금지원 9건(116억2500만원), 판로 지원 75건이 이뤄졌다.

벤처캐피털(VC) 등 혁신센터를 통해 이뤄진 투자유치액은 299억원에 달했다. 창업지원 교육 및 강연에 참여한 숫자는 10개월간 3만1000명이 넘었다.

모든 센터에서 금융·법률·특허 업무를 단일 창구를 통해 지원하는 ‘원스톱 서비스존’을 가동해 효과적인 업무 진행이 가능하도록 했다는 게 미래부의 설명이다.

혁신센터의 우수 지원사례도 속속 나타나 여러 창업·중소기업이 기술애로 해결, 매출 확대, 사업화 전략 마련 등의 효과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