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도 저물어 간다. 대망의 2000년을 기대했던 그때가 엊그제 같은데 큰 꿈은 커녕 사활을 걱정하는 오늘을 맞고 있다. 개별 중소기업은 물론이요 협동조합도 마찬가지다.
재벌들은 중소업계의 리더인 협동조합이 없어야 모든 것을 독점할 수 있다는 속내를 숨긴채, 협동조합은 자유시장원리에 어긋나는 단체라고 주장하고 있다.
더 나아가 재벌과 정부는 협동조합에 주어진 제도마저도 빼앗아 가려하고 있다. 고유업종제도를 교묘하게 흔들어 고사시켜가고 있는 것으로도 모자라 1만2천여개 중소기업들의 작은 젖줄 역할을 해왔던 ‘단체수의계약’ 제도까지도 흔들어대고 있다. 수요처가 힘의 우위에 있는 제도임에도 자유경쟁원리에 어긋나는 카르텔이라 협박하고 있다. 일부 업체들이 작은 욕심으로 규칙을 어기는 경우가 있고 토닥토닥 싸우는 경우가 있는 것을, 제도에 무슨 큰 흠집이 있는 양 부풀려 야단들이다.
어느 제도나 완벽할 수는 없는 것, 그러하기에 이런저런 이유로 1천만명이 넘는 국민들이 전과자라 하지 않는가. 가장 도덕적이어야 할 대통령이 감옥에 가고 감사원장이, 공정거래위원장이 죄인되는 우리나라다. 종합적으로 균형감 있게 판단을 한다면 그나마 우리 중소기업과 협동조합은 건전하다고 자부해도 되는 것 아닌가!
그러나 현실은 냉엄하다. 우리 협동조합이 단단하게 업계에 뿌리를 박아 회원사들의 강력한 구심체가 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체질이 튼튼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협동조합은 현 시점에서 자기 체력에 대한 진단과 정비가 필요하다. 정관을 비롯한 각종 규약·규정들은 잘 준비돼 있고, 결산을 비롯한 일상에서의 회계처리는 세금과 연계해 맞게 처리하고 있는지, 조합원들이 공통적으로 원하는 사업들을 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지속적으로 업계의 파이를 늘려갈 수 있는 방법들을 연구해 나가고 있는지를 점검해야 한다.
나를 점검하는데는 과거와 가식은 불필요하다. 끊임없는 자기혁신을 해 나가야 한다. 많은 조합들이 세월속에서 자기모순들을 안고 있다. 세월이 과거를 수정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오래되고 먹고 살만한 조합일수록 내재된 모순들을 더많이 가지고 있다. 빨리 그것들을 찾아내 치유해 줘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현재 그 일을 맡고 있는 사람들이 그 병에 걸릴 수 있고, 그것이 조합을 돌이킬 수 없는 위험으로 빠뜨릴수도 있다.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에서는 협동조합의 기초체질을 점검하고 작은 하자들을 보수하고 공동사업들을 함께 고민하고자 ‘현장지원단’을 운영하고 있다. 이후 현장지원 결과 훌륭한 성과를 낸 사례 소개와 협동조합이 현장지도를 기피하는 원인을 진단하고, 현장지원단 활용방안에 대한 제언을 드리고자 한다.

심충택 <기협중앙회 조합진흥부장>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