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조업의 재도약을 위해서는 업종별 중소기업협동조합이 중심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제조혁신의 출발이라 할 수 있는 뿌리산업이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넛 크래커’(Nut-cracker)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현장 특성에 맞는 스마트공장 확산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는 최근 ‘뿌리산업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활성화를 위한 8대 정책과제’를 정부에 제언했다.  

이번 정책 제언은 중기중앙회가 지난해 6월부터 한국뉴욕주립대 연구팀(팀장 박문수 교수)과 공동으로 진행한 뿌리중소기업 현장조사 및 연구용역, 산업통상자원부 및 스마트공장추진단과 공동으로 추진한 스마트공장 수요업체 발굴 과정에서 수렴된 업계 및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한 것이다.

업종별 특성 고려해야
‘스마트 공장’이란 기업이 물건을 만들어 판매하는 모든 제조설비에 ICT를 접목해 모든 임직원들이 생산데이터·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로 확인·공유함으로써 생산성을 최적의 수준까지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는 향후 2020년까지 1만개 제조업체에 스마트 공장을 보급한다는 계획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제언에서 중기중앙회는 뿌리산업 6대 업종별·기업규모별 스마트공장 수요분석과 업종 특성을 고려해 스마트공장 지원정책의 차별화가 필요하며, 6대 업종별 중소기업협동조합이 주도하는 스마트공장 모델 개발 및 보급·확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대량생산을 위한 모체를 만드는 공정인 ‘금형’의 경우, 종사자수 10인 이상 50인 미만의 소규모 기업을 중심으로 공정단계상 설계·준비 및 생산단계를 위주로 우선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것.

이에 비해 설비규모가 큰 ‘주조’의 경우, 종사자수 20인 이상 100인 미만 규모의 기업을 중심으로 자동화 설비투자 지원과 연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 제언의 내용이다.

‘표면처리’는 다른 제조부문과의 융복합 혁신이 기대되는 업종으로 자동화 생산이 필요한 20~99인 규모의 스마트공장 수요가 높아 해당 규모에 우선 지원이 필요하다. ‘용접’은 다품종 소량생산체제의 특성과 자동화 수준이 낮기 때문에 스마트공장에 대한 컨설팅 지원이 우선돼야 한다.

조합이 주도적 역할 맡아야
‘열처리’는 소기업 비중이 높으며 공정단계별로 품질검사 부문에 대한 집중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에너지 소모가 많기 때문에 에너지절감시스템과 연동된 스마트공장 솔루션 보급이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소성가공’은 자동화 공정이 보편화된 소품종 대량생산 업종으로, 품질검사 단계의 설비 및 솔루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중앙회는 특히 뿌리산업의 일부 업종은 스마트공장에 대한 수요가 높아, 업종별 협동조합 주도의 스마트공장 모델 개발과 표준화를 추진하면 현장에서의 적용이 한층 수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뿌리산업의 고질적인 애로사항으로 나타나는 전기요금, 폐수처리 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공장 지원을 강화하고, 뿌리산업이 스마트공장으로 혁신하고 지속성장할 수 있도록 컨설팅, 인력, 자금 등을 연계해 집중 패키지 지원을 확대해나가야 한다고 건의했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산업지원본부장은 “주조, 금형, 소성가공, 열처리, 표면처리, 용접 등 제조업의 기반인 6대 뿌리산업의 스마트화를 제외하고 제조업 혁신은 불가능하다”면서 “뿌리산업의 업종별, 규모별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스마트공장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