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의 엔진 역할을 해 온 제조업이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 침체의 늪에 빠졌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의 제조업 실적 부진에다 올해 성장 전망마저 어두워 국내 제조업체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최근 국제금융계에 따르면 지난 2월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전망치는 51.0으로 2012년 10월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 공장들의 생산량, 수출, 주문량, 고용, 재고, 가격 등 모든 요소가 나빠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유럽도 사정이 비슷하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제조업 PMI도 51.0으로 1년 만에 최저치를 보였다. 유럽의 대표 제조업 강국인 독일의 제조업 PMI는 15개월 만에 최저인 50.2를 나타냈다.

아시아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일본은 2월 닛케이 제조업 PMI가 50.2로, 시장 예상치였던 52.0을 밑돌며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중국의 1월 차이신 제조업 PMI는 48.4로 11개월 연속 기준선인 50을 밑돌았다.

구매관리자의 응답을 바탕으로 집계하는 PMI 못지않게 실제로 최근 산업생산 지표도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일본의 지난해 12월 산업생산 수정치는 전월 대비 1.7% 줄어들면서 예상보다 악화됐다. 이런 감소 폭은 지난해 5월 이후 가장 큰 것이다.

유로존의 지난해 12월 산업생산은 에너지기업의 부진으로 전월보다 1.3% 빠졌다. 같은 기간 독일의 산업생산도 애초 예상치인 0.5% 증가를 깨고 오히려 1.2% 감소했다.

문제는 세계 경제 침체, 교역량 감소로 앞으로 전 세계 제조업 전망이 여전히 암울하다는 점이다. 지난해 전 세계 교역량은 전년보다 11.8% 줄었다.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는 세계적인 교역량 감소와 수출 위축이 제조업에 직격탄으로 작용한다. 수출이 어려워지면서 중국, 일본, 대만 등 주변국과의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세계 전체 교역이 위축되면서 한국 부품 수출이 위축될 수 밖에 없다”며 “중국이 성장하면서 여러 면에서도 위협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