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추진 현황]

▲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7일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 확산을 위한 ‘2016년 정부의 스마트공장 지원사업과 중소기업의 참여방법’을 안내하는 설명회를 개최했다.

선진국의 제조업 부활과 중국 등 신흥국 추격과 저유가 등에 따른 수출 여건 악화로 제조업 전반의 위기감이 심화되면서 스마트공장이 대안책으로 떠올랐다. 미국은 2009년 ‘Remaking America’을 발표하며 제조업 혁신 정책을 중점 추진하고 있으며, 이어 독일(2012년 Industry4.0), 일본(2013년 산업재흥플랜) 등이 정부차원에서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제조업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정부는 2020년까지 중소·중견기업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1만개(20인 이상 업체의 약 3분의 1 수준) 보급·확산 및 고도화를 추진 중에 있다. 세부적인 스마트공장의 보급·확산 목표를 살펴보면 1240개(2015)→4000개(2017)→1만개(2020) 등이다.
이러한 한국의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핵심으로 하는 ‘제조업 혁신 3.0 전략’은 지난 2014년 6월 대통령과 경제단체와의 간담회에서 발표됐다.

스마트공장 확산을 위해 정부는 대기업과 합동으로 매년 약 500억원을 마련하고, 수준별로 맞춤형 지원을 하기로 했다. 아울러 스마트공장추진단이 총괄관리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가 현장 밀착지원 하는 것으로 컨트롤타워도 조성했다. 스마트공장추진단은 산업부, 중기청, 삼성, 현대차 등 15개 기관이 참여하는 민관합동 기구다.

지난해 12월말 기준으로 보급·확산 결과를 보면 스마트공장 1240개사에 대한 구축 지원을 했고,  지원기업의 생산성 평균 25% 향상 등 성과를 창출했다. 이에 따라 불량률 27% 감소, 원가 29% 절감, 납기 19% 단축, 시제품 제작기간 7% 감소, 생산품목수 17% 증가 등을 실현했다.

스마트공장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도 날로 향상 중이다. 최근 대한상의 조사결과 지난 2014년 12월 57%의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을 긍정 검토한다’고 밝혔으며, 2015년 5월에는 이 비율이 70%로 늘어났다. 이어 같은 해 10월에는 77%까지 증가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