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지출 성향에 의해 저소득층의 물가상승률이 오히려 고소득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저물가의 가계 특성별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근 저물가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역대 최저인 0.7%를 기록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가계 특성에 따라 체감 물가상승률에는 큰 차이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이 많을수록 저물가의 수혜를 크게 받고 반대로 소득이 적으면 물가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현대경제원이 통계청 자료를 이용해 자체 분석한 결과 지난해 소득분위별 물가상승률을 1분위(소득 최하위 20%) 1.1%, 2분위 0.9%, 3분위 0.9%, 4분위 0.7%, 5분위(최상위 20%) 0.4%로 나타났다.

전체 물가상승률이 0.7%라는 점을 감안하면 소득이 적은 1분위는 오히려 체감 물가가 더 올랐고 소득이 많은 5분위는 비교적 부담이 덜했다. 소득 1분위 가구와 5분위 가구의 물가 상승률 격차도 2012년 0.3%포인트, 2013년 0.2%포인트, 2014년 0%포인트에서 지난해 대폭 커졌다. 쉽게 말해 유독 지난해에만 저소득층의 물가 상승률이 고소득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던 것이다.
이같이 차이는 계층간 소비지출 비중이 다르기 때문이다.

백다미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소득이 적은 가구일수록 주류·담배와 식료품 물가 상승 영향을, 소득이 많은 가구일수록 교통 물가 하락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았다”고 설명했다.

소득이 적은 가구는 담배·식료품·주거·보건·통신에 대한 지출 비중이 높고, 고득층일수록 교통·오락문화·교육에 많은 돈을 쓴다.
지난해 담배세 인상의 영향으로 주류 및 담배 부문은 물가상승률이 50.1%에 달한 반면 국제 유가 하락으로 교통 부문은 7.8%가 하락했다.

이에 따라 주류·담배의 물가 기여도는 1분위 0.8%포인트, 5분위 0.4%포인트, 교통의 물가 기여도는 1분위 -0.6%포인트, 5분위 -1.0%포인트로 소득분위별 차이가 컸다.

결국 저소득층이 많은 돈을 쓰는 담배·주류·식료품 부문에서 물가가 크게 오른 탓에 1분위의 물가상승률이 5분위보다 높게 나타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이밖에 가구원수가 많은 가구보다 1인가구, 가구주연령이 낮은 가구보다 고령가구가 상대적으로 물가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소비지출비중에서 1인가구와 고령가구가 식료품·주거·보건 부문에 가장 많은 돈을 쓰기 때문이다.

백 선임연구원은 “저물가로 인한 혜택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저소득층, 소형 가구 등의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식료품 물가 안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농산물 계약재배 물량 확대, 대규모 출하시설 건설 등 가격 안정성을 도모하고 유통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