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심리가 두달 연속 기준치를 밑돌았다. 기업 구조조정과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Brexit)를 둘러싼 불안감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여기에 소득으로 빚 갚기 힘든 ‘한계가구’도 증가 추세라 소비심리가 쉽게 회복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소비자 향후 경기전망도 ‘부정적’
한국은행이 지난달 28일 발표한 ‘6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9로 전달과 같았다. 5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수출둔화와 기업 구조조정 등의 여파로 석달만에 하락한 바 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동향지수(CSI)중 6개 주요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로, 장기평균치(2003년 1월~2015년 12월)를 기준값 100으로 둔다. 소비자심리지수가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이고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고 본다.

소비자심리지수는 2월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정성과 국제 유가 하락 기조가 이어지면서 지난해 발생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당시 수준(98)까지 하락했다가 두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5월 들어 내림세로 전환했다.

금리수준전망지수는 91로 전달 대비 7포인트 하락해 지난해 1월(92) 이후 1년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금리 인하를 전망하는 응답자가 그만큼 많아졌다는 의미다.

소비자들의 현재 경기에 대한 인식과 향후 경기 전망은 모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개월 전과 현재를 비교하는 현재경기판단지수는 전달 대비 2포인트 내린 68로 석달째 내림세를 지속했다. 6개월 뒤의 전망을 나타내는 향후경기전망지수도 2포인트 하락한 78로 석달째 하락세를 그렸다.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 대량실업이 발생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면서 취업기회전망지수도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취업기회전망지수는 1포인트 오른 75로 집계됐다. 5월 취업기회전망지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문에 최저치를 기록했던 2009년 3월(55) 이후 7년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인 74를 기록한 바 있다.

6개월 전과 현재를 비교하는 현재생활형편지수는 91로 3월부터 넉달째 같은 수치를 나타냈다.

현재와 비교해 6개월 후를 전망하는 생활형편전망지수는 96으로 두달째 변동이 없었다.
가계수입전망지수 역시 98로 두달째 동일한 수치를 나타냈고 소비지출전망지수 역시 전달과 같은 105를 기록했다.

금리인상 충격 시 부실가구 타격
소득으로 빚을 갚기 어려운 ‘한계가구’와 ‘부실위험가구’가 늘어난 점도 소비심리 위축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월말 기준 한계가구는 134만가구로 전년 동기에 비해 4만가구 증가했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전체 금융부채의 29.1%로 전년 동기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한계가구는 금융자산이 마이너스(-)인 동시에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초과하는 가구로, 단기간에 채무상환 요구가 집중될 경우 실물자산 처분없이는 부채를 상환하기 어려운 가구다.

가계부실위험지수(HDR)가 100을 초과하는 부실위험가구는 111만가구로 같은 기간 3만가구 늘었다. 이들이 보유한 부채 비중은 전체 금융부채의 20.1%로 전년 동기에 비해 1.0%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개별 가구의 DSR과 부채/자산평가액 비율(DTA)이 모두 임계치 수준(각각 40%, 100%)일 때 100의 값을 나타낸다. 이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경우 부실위험가구로 분류된다. 

한계가구와 부실위험가구로 중복 판별된 고위험 가구는 54만가구 정도다. 특성별로 보면 소득분위별로는 소득1·2분위 저소득계층이 40%, 연령대별로는 40대가 38.5%, 종사상지위별로는 자영업자가 34.2%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앞으로 금리가 인상될 경우 한계가구와 부실위험가구는 더 늘어나고,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도 상승할 것으로 조사됐다. 
한은의 분석 결과 금리 1%포인트 상승시 한계가구는 134만가구에서 143만가구로 늘고,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 비중은 29.1%에서 31.8%로 2.7%포인트 상승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