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제조업에 편중된 산업 구조를 탈피하기 위해 서비스업 발전 전략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지만 지난 5년간 국내 30대 그룹의 서비스업 비중은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그룹이 영위하는 서비스업 매출비중은 34%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영업이익 비중은 30%로 더 낮았다. 반면 계열사 수 비중은 66%, 고용비중은 43%로 제조업에 비해 부가가치가 크게 낮았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2010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30대 그룹의 서비스 부문 실적과 고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2015년 30대 그룹 내에서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720개 계열사의 매출(개별기준)은 420조3000억원으로 전체 30대 그룹 매출(1234조6000억원)의 34%로 집계됐다고 최근 밝혔다.

서비스업 매출 비중은 2010년 33.1%에서 5년간 0.9%포인트 상승하는데 그쳤다. 30대 그룹내 서비스업 부문의 영업이익은 18조9000억원으로 전체 영업이익(62조5000억원)의 30.3%에 머물렀다. 5년전 30.8%보다 오히려 0.5%포인트 떨어졌다.

서비스업 고용 비중은 42.8%였다. 전체 직원 128만여명 중 서비스업 계열사 직원이 54만9000여명에 달했다. 5년 전 40.1%보다 약간 상승했다.

하지만 이 역시 국내 전 산업의 서비스업 고용 비중인 70%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평균 서비스업 고용 비중인 72.9%에 비하면 크게 낮은 수치다.

국내 30대 그룹의 서비스업 계열사 수는 720곳으로 전체(1090곳)의 66%를 차지했다. 계열사 3곳 중 2곳이 서비스업을 영위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지난 5년간 30대 그룹 중 서비스업을 주력으로 삼는 그룹의 매출 성장세가 제조업 중심 그룹보다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그룹 중 서비스업 비중(매출 기준)이 50%를 초과하는 롯데, 한화, 한진, KT, 신세계, CJ, 금호아시아나, 현대백화점, 현대, 미래에셋 등 10개 그룹의 매출액은 2010년 193조3000억원에서 2015년 246조원으로 27.3% 증가했다. 고용은 28만3000여명에서 40만3000여명으로 42.1% 늘었다.

반면 삼성, 현대차, SK, LG 등 제조업 중심 19개 그룹의 5년 새 매출 증가율은 9.2%, 고용증가율은 18.7%에 머물렀다. 서비스 부문 그룹의 매출과 고용 증가율이 제조업 중심 보다 각각 3배, 2.3배 높다.

최근 5년 간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그룹 ‘톱4’도 모두 서비스업 그룹이었다. 현대백화점(100.8%), CJ(95.3%), 미래에셋(57.2%), 한화(55%) 등이 50% 이상의 높은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어 부영(49%), 대우건설(47.1%), 롯데(42.8%), 신세계(37.3%), 현대차(32.3%), SK(22.8%) 순이다. ‘톱10’으로 따져도 서비스업 그룹이 6개나 포진한 셈이다.

서비스업 주력 10개 그룹 중 7곳은 매출이 늘었고 3곳(30%)은 감소했다. 반면 제조업 중심 그룹 19곳 중에서는 8곳(42%)의 매출이 감소했다.

고용 사정도 비슷했다. 5년 간 고용 증가율 ‘톱10’에 서비스업 그룹이 5곳으로 절반을 차지했다. 영업이익도 증가율 10위권 내에 4개 그룹이 포진했다.

정부는 지난 4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서비스업에 대한 세제지원 혜택을 제조업 수준으로 끌어올려 오는 2020년까지 7대 유망서비스업에서 25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서비스경제 발전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