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해운 등 전통 주력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의약품과 의료기기, 화장품 등 보건산업을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로 육성해 2020년까지 수출은 20조원, 일자리는 94만명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보건산업, 연평균 6.6%씩 고성장
정부는 지난 8일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제88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마련한 ‘보건산업 종합발전전략’(2016∼2020)을 확정했다. 보건산업 전반을 조망하는 정부의 종합계획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 보건산업 분야의 생산, 수출 성장 속도는 매우 빠르다.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생산액은 2011년 25조3000억원에서 2015년 32조7000억원으로 연평균 6.6%씩 성장해왔다.
이 분야의 수출액은 2011년 4조7000억원에서 2015년 9조3000억원으로 4년 만에 두배 가까이로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이 18.7%에 달했다.

일자리 역시 빠르게 늘어나 보건산업 종사자 수는 2011년 62만명에서 2015년 76만명으로 4년 만에 14만명(22.5%) 늘었다.
정부는 보건산업 수출을 2020년 20조4000억원까지 늘려 관련 일자리를 94만명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선 세계 시장을 차지하기 위한 각국의 경쟁이 치열한 제약·의료기기·화장품 분야에서는 시장을 먼저 이끌어갈 제품이 우리나라에서 나올 수 있도록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국내에서 수행한 의약품의 임상 3상, 연구개발(R&D) 시설 투자 등에 세액 혜택을 줄 방침이다. 의료기기 임상시험 비용도 지원을 확대하고 유통구조를 선진화해 의료기기 발전을 촉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부는 이런 대책을 통해 현재 3종(SK케미칼 앱스틸라, LG생명과학 팩티브, 동아제약 시벡스트로)에 그치는 ‘글로벌 신약’을 2020년에는 17개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현재 5종에 그치는 국산 바이오시밀러(바이오복제약)도 2020년까지 10종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화장품 산업의 수출 성장세를 계속 이어가고자 항노화, 감성화장품 개발을 위한 R&D 투자를 신설하고, 국가별 피부특성은행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런 대책 시행으로 국내 화장품 업체 두곳이 2020년에 세계 10위 내에 드는 업체로 성장하고, 국내 총 화장품 생산액도 지난해(11조원)의 두배 이상으로 늘어난 23조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0만명 유전체 정보 DB구축
차세대 의료서비스로 주목 받는 ‘정밀의료’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정밀의료란 개인의 유전자, 환경, 생활방식 등의 특성에 맞춘 최적화된 의료기술을 뜻한다. 개인의 유전체 정보와 의료 빅데이터 분석이 정밀의료의 핵심이다. 정밀의료는 국가전략프로젝트로도 선정돼 있다.

정부는 10만명의 유전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정밀의료 자원을 연관기관이 교류할 수 있게 플랫폼을 개발해 암 진단·치료법 개발을 추진할 방침이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등 첨단 재생의료기술이 환자 진료에 빨리 활용될 수 있도록 실용화도 촉진한다. 검증된 의료기관에서는 환자 치료에 필요한 기술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 허가 전에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병원 내 신속 적용제도’ 등도 도입하겠다고 정부는 밝혔다.

정부는 한국 의료기술의 해외 진출을 활성화해 지난해 30만명이던 외국인 환자도 2020년에는 75만명으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 2018년까지 고려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카이스트, 경희대 등이 모인 지역에 병원-기업-연구소가 결합한 한국형 메디클러스터 ‘홍릉 클러스터’를 조성, 이곳이 창업 선도기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발표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을 통해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제 개발, 인공지능을 활용한 최적의 맞춤형 건강관리·치료가 실현되는 등 국민의 보건이 향상되는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며 “2013년 73세였던 건강수명을 2025년 76세까지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