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76곳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법정관리 등 구조조정에 들어간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몰아닥쳤던 2009년 이후 7년 만에 최대 규모다.

금융감독원(진웅섭)은 지난 6일 ‘2016년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500억원 미만 기업(중소기업) 중 176개사를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구조조정 대상 70%가 제조업체
전체 구조조정 대상 기업(176곳은)은 지난해보다 1곳 늘었고, 과거 3년 평균(137개사)과 견줘서는 28.5% 급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규모 구조조정이 이뤄진 2009년(512곳) 이후 최대 구조조정이다. 국내 경기 부진에다 수출 절벽의 후폭풍이 대기업을 넘어 중소기업계에도 몰아친 셈이다.

금감원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연간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한 기업)이거나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인 회사, 자본이 완전잠식된 회사 등을 대상으로 신용위험 세부평가를 한다.

신용위험도는 A∼D의 네 개 등급으로 나뉘는데 C∼D등급이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이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등 구조조정 대상으로 분류된다.

올해 평가결과 부실징후 기업이지만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C등급은 71곳, 정상화 가능성이 없는 D등급은 105곳이다. C등급 기업은 신용위험 평가 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3개월 내로 워크아웃을 신청하고, 경영 자구안을 제출해야 한다. D등급 기업은 법정관리 등을 통해 부실을 정리하게 된다. 구조조정을 이행하지 않는 기업에 대해선 주채권은행 여신중단과 회수 등 필요한 조치가 뒤따른다.

업종별론 제조업체 비중이 70%를 넘어서는 등 중소기업들이 조선·전자·자동차 등 한국 경제를 떠받쳐온 주력산업 부진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금속가공품제조업(22곳)이 가장 많았고, 전자부품제조업(20곳), 기계장비제조업(19곳), 고무·플라스틱제조업(14곳) 순이었다. 조선·해운·철강·건설·석유화학 등 5대 취약업종(경기민감업종) 기업은 26개사(14.8%)다. 

특히 금속가공제품 분야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1년 새 14곳이나 늘었다. 주로 자동차·해양플랜트 등에 들어가는 금속 구조물을 만드는 2차 협력업체들이다.

장복섭 금감원 신용감독국장은 “대기업 매출이 줄어들거나 업황이 안 좋아지면 직격탄을 맞는 곳은 중소기업”이라며 “구조조정 대상 기업 대다수가 부품 제조업체”라고 말했다.

국내 경기 부진으로 유통업(8곳), 부동산업(7곳), 스포츠서비스(5곳) 등 비제조업체들도 줄줄이 구조조정 대상이 됐다. 회원제 골프장 4곳도 여기에 포함됐다.

기업부실로 금융회사 부담 커져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늘면서 기업에 돈을 빌려준 은행 부담도 커지고 있다.
9월 말 현재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에 금융회사들이 빌려준 자금 규모는 1조9720억원이다.

은행들이 건전성을 유지하려면 기업 부실에 대비해 더 많은 대손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이번 신용위험평가로 은행들이 추가로 쌓아야 하는 대손충당금 규모는 3200억원이다.

새로운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에 따라 채권은행들은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절차를 밟지 않는 기업에 대해서는 여신을 중단하거나 여신 한도·금리를 변경하는 등의 조처를 해야 한다.

금감원은 채권은행이 구조조정 기업에 대한 사후 관리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 이번 주부터 신용평가사와 공동으로 현장 점검에 나선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