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팩토리’라고도 불리는 스마트공장은 제품기획과 설계, 생산, 유통·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 생산시스템을 최적화해 공장의 효율을 극대화한 공장을 말한다.

이미 전 세계는 제조경기 침체에 따른 위기탈출의 돌파구로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센서가 융합된 4차 산업혁명 전략을 짜고 관련 산업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의 출발이 스마트공장인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측면에서 한국은 후발주자다. 독일과 일본 등 제조업 강국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 부흥 전략을 내놓으면서 산업현장에 스마트공장 도입을 서둘러 제품의 질과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정부가 2600여개에 불과한 스마트공장을 올해 말 5000개까지 확대하고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는 것은 고무적이다. 스마트공장 지원대상인 상시근로자 10인 이상 제조업은 6만8000여개에 달한다.

정부의 제조업 혁신 3.0 전략 일환으로 2020년까지 국내 1만 개 중소제조업체가 스마트공장으로 화려하게 변신하는 프로젝트가 전개되고 있다.
스마트공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열어갈 해법이자 기업의 생존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숙명으로 인식돼 가고 있는 것이다.

중소기업 67%, “스마트공장 필수”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가 최근 중소제조업체 300개사를 대상으로 ‘스마트공장에 대한 중소제조업 의견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소제조업체 10곳 중 7곳이(67.4%)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공장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스마트화 추진이 가장 시급한 분야는 ‘생산(공정) 및 품질검사’(73.8%)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스마트공장 도입의 기대효과로 ‘생산성 증가’(71.9%) ‘품질개선’(64.6%) ‘비용절감’(64.6%) 순으로 조사됐다. 중소제조업의 스마트화 수요가 생산 효율화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스마트공장 도입시 중소제조업의 우려사항으로 ‘투자자금 부담’ (83.3%)이 가장 많이 꼽혔고,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등 사후관리 부담’(57.4%)‘전문인력 확보 어려움’(35.7%) 순으로 나타나 자금지원 확대, 유지보수 지원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부가 올해 목표로한 누적 5000개사의 스마트공장 달성 목표를 위해 올해 예산 580억원(산업부 408억, 지역특화 22억, 중기청 150억)을 투입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는 전체 중소제조업체수(39만개) 대비 1.3%에 불과해 앞으로 스마트공장 도입 수요가 증가할 경우 지원예산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중기중앙회는 중소기업이 원활하게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이달부터 본부 및 13개 지역본부를 통해 스마트공장사업 참여의향서를 접수하고 있으며, 업종별 협동조합과 유관단체를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도입 확산 활동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