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이 오른 품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소비자 심리를 반영하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까지 치솟을 것이라는 통계청의 분석이 나왔다. 청년층 실업률 역시 10%대지만 통계청의 방식대로 산출한 청년층 체감 실업률은 22%대에 달했다.

유경준 통계청장은 지난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정례 기자간담회를 열고 “가격이 오른 품목의 가중치를 2.5배로 늘린 결과 지난 1월 물가상승률이 5.1%(전년 대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공식 물가상승률(2.0%)의 2.5배가 넘는다.

“체감과 지표상 차이 줄이려 노력”
이번 체감물가 지수 발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 실업률 등 정부 공식 통계가 체감 지표와 다르다는 비판에 따라 준비됐다. 유 청장은 “체감, 공식 통계 간 괴리가 크다는 지적은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 심리적 영향 등 다양한 것에 기인한다”며 “보조지표를 만들고 체감과 지표상 차이를 줄이려고 통계청도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2.0% 올랐으나 당근(125.3%), 무(113.0%), 달걀(61.9%) 등 자주 사는 품목들의 물가가 큰 폭으로 뛰며 체감 물가는 더 많이 뛰었다는 목소리가 컸다.

유 청장은 “소비자들은 주로 많이 사는 물건의 가격 변동에 민감하고 심리적으로 가격이 더 오른 것을 기억한다”며 “그러다 보니 통상적으로 올라간 품목의 가중치를 2∼3배 더 느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통계청이 가격 상승품목의 가중치를 1.5배 높인 결과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1%로 확대됐다.

이 가중치를 2배로 올리면 물가 상승률은 4.1%, 2.5배로 확대하면 물가 상승률은 5.1%까지 늘었다. 가중치 2.5배를 적용한 체감 물가는 국제유가가 배럴당 150달러까지 치솟았던 2011년 10.1%, 2012년 7.5% 등 고공행진을 했다. 이후 지난해까지 4년 연속 3%대를 기록하다 올해 1월 5%대로 껑충 뛰었다.

유 청장은 통계청도 체감 물가와 차이를 줄이고자 노력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1998년 4월부터 구매빈도가 높은 141개 품목을 별도로 산정해 생활물가지수를 발표하고 있다”며 “품목 개편도 5년 주기로 하다가 2∼3년으로 단축했고 올해 기준으로 가중치를 개편해 내년 12월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령화, 1인 가구 증가세에 맞춰 가구주 연령별, 1인 가구 물가를 별도로 산출해 올해 발표할 계획”이라고도 덧붙였다.

“고용보조지표로 체감실업률 산출”
통계청은 비공식 지표인 청년층 체감실업률을 공식 지표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실업률도 실제 체감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기 때문이다.
유 청장은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통계청이 세계 최초로 고용보조지표를 개발했다”며 통계청 지표로도 체감 실업률이 설명된다고 강조했다.

통계청은 체감실업률을 설명하기 위해 3종류의 보조지표를 발표한다. 청년층 체감실업률은 공식 실업자에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잠재경제활동인구를 추가해 산출한다. 다만 연령별 고용보조지표는 통계청의 공식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유 청장이 이날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청년층 체감실업률은 2015년과 2016년 각각 22%를 기록했다. 청년층의 공식 실업률은 2015년과 2016년 각각 9.2%, 9.8%다. 특히 지난해 청년층 실업률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가장 높았다.

유 청장은 “체감이란 것은 사람에 따라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며 “다양한 불만족 상황을 일정한 기준 없이 실업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공식실업률과 체감상황 간의 차이가 발생한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부터 분기별로 지역내총생산(GRDP)을 통계청이 작성하는데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에 통계 생산 능력이 없어 2017년인데도 GRDP가 2015년 수치가 겨우 나오는 수준”이라며 “관련 과를 설치, GRDP의 정확성과 시의성을 향상해 지방자치제 도입 20년에 걸맞은 통계가 나오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