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 많은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한국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이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가장 적게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권규호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과 고상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기획조정실장 등은 지난 8일 ‘4차 산업혁명의 고용 효과’ 보고서에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보고서 등을 분석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한국 노동시장을 전망했다.

OECD가 21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분석에 따르면 자동화로 일자리가 사라질 확률이 70% 이상인 직업의 비중은 평균 9%로 나타났다. 독일, 오스트리아, 스페인,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은 10% 이상으로 평균보다 높았다.

한국은 사라질 확률이 높은 직업의 비중이 6%로 연구대상국 중 가장 낮았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국가로 여겨져 왔다.
그럼에도 일자리에 미치는 악영향이 비교적 덜할 것으로 전망되는 것은 작업장의 조직이나 자동화에 대한 선행투자, 근로자의 높은 교육수준 등이 향후 자동화 확률을 낮추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근로자 1만명 당 제조업의 로봇 도입 수는 한국이 531대로 조사 대상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반면 영국(71대), 오스트레일리아(86대), 스위스(119대) 등 주요 선진국은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미 자동화가 많이 진행된 만큼 다른 나라에 비해 제조업에서 4차 산업혁명의 악영향을 받을 여지가 낮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신기술을 활용하는 직업으로 기본 인력이 재배치될 수 있다면 4차 산업혁명은 임금상승과 근로시간 단축을 가져올 수도 있다”며 “신기술 관련 직무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교육훈련 제도를 갖추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