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라운지] 해외 주식투자 꿀팁

글로벌 투자자문사 웰링턴의 돈 킬브라이드(Don Kilbride) 매니저는 배당 증가를 재미있는 금융 개념쯤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에는 배당 증가를 투자자의 화살통에 든 가장 중요한 화살로 인식하게 됐다.

킬브라이드의 생각이 이처럼 변하게 된 계기는 뱅가드 배당금 성장펀드(Vanguard Dividend Growth)의 실적이 246억달러를 기록했기 때문이었다. 웰링턴에서 그가 운영하는 포트폴리오 중 최고 실적이었다. 펀드종목은 매년 배당을 지속적으로 늘려온 기업에 치중돼 있다. 일부 기업은 수십년 간 배당을 높여왔다. 2008년 시장의 수직낙하로 S&P 500지수가 37% 폭락했을 때에도 뱅가드 배당금 성장펀드의 하락폭은 그 3분의 2수준이었다.

배당이 현금으로 지급될 수 있다는 점에 힘입은 결과였다. 시장 회복기에도 뱅가드 배당금 펀드는 경쟁 상품 대비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투자자들도 배당금을 키워온 기업을 높이 평가했다. 최근 실적을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1999년 연초부터 최소 25년 이상 매년 배당을 늘려온 기업으로 구성된S&P 500 배당금 귀족지수(S&P 500 Dividend Aristocrats index)의 수익률은 314%였다. 시장 전체의 두배 수준이다(배당금을 제외해도 수익률이 S&P 500지수를 가뿐히 넘었다).

물론 시장 호황이 7년째 접어들고 있어 조정이 불가피해 보이긴 한다. 하지만 많은 투자자들은 킬브라이드처럼 귀족지수에 속한 기업들이 일반 주식보다 불황을 훨씬 잘 견디고, 하락 폭이 적고, 회복세도 빠르다는 점을 깨닫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귀족지수에 속한 기업들은 금융위기 전 주가 수준을 회복하는데 약 2년이 걸렸다.

S&P 500에 속한 기업들의 평균에 절반 정도다. 1995년부터 2000년까지의 거품 경제를 일컫는 닷컴 버블 붕괴 때에도 이 같은 현상은 마찬가지였다. 귀족지수 종목은 2001년 버블이 터지기 전 수준으로 회복한 반면, S&P 500지수 종목은 2000년 최고가를 회복하는데 6년 가량이 더 걸렸다.

노던 트러스트 자산운용(Northern Trust Wealth Management)의 최고투자책임자 캐서린 닉슨(Katherine Nixon)은 고객에게 배당금을 늘려온 3M이나 타깃(Target)을 추천하고 있다. 3M은 57년, 타깃은 43년 연속 배당금을 늘려왔다. 배당의 안정성과 신뢰성으로 투자자들은 이런 기업에 안심하고 투자를 할 수 있다. 닉슨은 “투자자들이 급류를 헤쳐 나올 때 부표만큼 안전한 것은 없다”고 말했다.

당연히 많은 투자자들이 이 ‘부표’를 잡기 시작했다. 2013년 말, 파생상품 전문 운용사 프로셰어스는 귀족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최초로 출시했다. 그리고 이미 7억달러의 투자금을 모았다. 프로셰어스의 CEO 마이클 사피어는 “출시와 동시에 가장 성공적인 전략상품 중 하나가 됐다”고 말했다. 성공 이유는 쉽게 알 수 있다. S&P 귀족지수에 속한 기업은 2008년 이후 한해를 제외하고 S&P 500지수에 속한 기업의 실적을 앞질렀다.

당연히 저금리 시대에 수익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에게도 배당금은 매력적이다. 때문에 귀족지수 종목은 2015년 예상 수익의 19.5배, 시장 전체 보다 9% 높게 거래되고 있다.

배당주 투자자들은 안전성과 안정적인 현금흐름 때문에 프리미엄을 지불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48억달러 규모의 T. 로프라이스 배당금 성장 펀드 매니저 톰 휴버는 “배당금 증가가 오랫동안 유지되는 건 경영진이 힘든 시기에도 주주 친화적 자세를 보여준다는 걸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어떤 CEO도 이런 전통을 깨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루이 16세의 말처럼 귀족도 취약할 수 있다. 많은 투자자들은 가격이 급격히 오를 경우, 배당 성장 기업에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다고 본다. 다른 채권수익률에 비해 배당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 귀족이 위기에 봉착하면 왕실 이혼보다 더 빠르게 귀족 타이틀을 잃고, 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금융 위기를 거치며 배당을 줄인 뱅크 오브 아메리카와 화이자가 대표적인 사례다. 놀라운 수익률을 보이는 귀족지수의 한가지 우려사항은 난류를 만난 배당 성장 기업이 쉽게 귀족지수를 벗어나곤 한다는 것이다. 금융 위기 이전 S&P 500지수에 속했던 60개 귀족지수 기업 중 17개가 2008년과 2009년에 이 지수에서 이탈했다.

위험 분산을 위해 성장 기간이 짧은 기업을 포함한 여러 배당 성장주를 함께 보유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176억달러 규모의 프랭클린 성장형 배당 펀드(Franklin Rising Dividends Fund)를 운영하는 돈 테일러(Don Taylor)는 종목별로 배당 증가의 기준 기간을 최근 10년 중 8년으로 삼고 있다. 그는 1996년부터 23년 동안 배당금을 늘려온 의료기술 제조업체 벡턴 디킨슨(Becton Dickinson)을 샀다.

이 종목의 현재 수익률은 750%에 달한다. 91억달러 규모의 컬럼비아 배당 수익펀드의 매니저 스콧 데이비스는 최근 애플과 생명공학 기업 길리어드를 매수했다. 애플은 2012년, 길리어드는 올 2월 배당을 시작했다. 이와 함께 52년 연속 배당을 늘려온 존슨 앤드 존슨 같은 전통적으로 탄탄한 배당 귀족주도 보유하고 있다.

데이비스는 “이런 귀족주 기업은 그로버 클리블랜드(1885~1889년, 1893~1897년 미국 대통령) 행정부부터 지속돼온 기업”이라며 “지난 불황기에도 존슨 앤드 존슨이 파산할 것이라고 생각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고 말했다.

- 글 :  하제헌 객원기자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