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수준이 미국과 독일 등 주요 선진국을 따라잡으려면 약 4년이 걸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산업연구원(KIET)은 지난 24일 ‘한국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현황과 평가’ 보고서를 발표하고 선진국 기업과 비교한 국내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수준을 81점으로 평가했다. 선진 기업을 100점으로 가정해 국내 기업의 상대적 대응 수준을 평가한 것이다. 선진 기업과 격차가 1년일 경우 5점으로 환산했다.

디자인·브랜드 경쟁력 취약
분야별로 보면 제조·공정 분야에서는 우리나라 제조업이 90점을 받아 격차가 2년에 불과했지만, 디자인(73점)과 브랜드 구축(75점) 등 분야에서는 5년 이상으로 벌어졌다.

산업군별로 보면 우리나라가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IT 제품·부품에서는 격차가 없거나 1~2년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신산업과 소재 산업군에서는 격차가 최대 6년이었다.

이에 대해 KIET는 기존의 제조업과 산업정책에 대한 고정관념, 제조업과 서비스업이라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새로운 여건변화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역량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정부의 역할은 연구개발(R&D) 투자보다는 창의와 혁신에 기반한 제도혁신과 여건조성이 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일자리에 문제에 대해 정부는 소멸하는 일자리에서 방출되는 인력과 새로운 일자리 출현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은미 산업연구원 산업경쟁력연구본부장은 “기존 제조업과 산업정책에 가진 고정관념을 벗어나고 제조업이냐 서비스업이냐의 이분법적 사고의 틀을 깨야 한다”면서 “R&D 예산 확대 일변도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 보다는 규제와 제도 개선으로 기업주도 혁신 활성화와 과감한 사업재편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규제 및 제도 개선을 통한 기업주도의 혁신 활성화와 과감한 사업재편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부분 기업 2020년에 실행초기
KIET는 이와 함께 국내 제조업 대부분 2020년경이면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활용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초기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중에서도 바이오헬스, 스마트그리드 등 신산업의 경우 5년 후에는 원료조달에서 서비스까지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영향의 강도가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동시에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기술 활용으로 소프트웨어 중심의 제조 환경이 중요해지고 산업생태계 내에서 IT기업의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유전자, 의료 정보, 생활 패턴 정보 등 개인 정보 수집 및 분석이 필수적인 바이오헬스의 경우 기업이 구성한 모바일·웨어러블 플랫폼을 중심으로 가치사슬 구조가 변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