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월급쟁이’의 세전 평균 월급이 329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별로 보면 금융·보험업이 숙박 음식점업 소득의 세배를 웃돌고, 대기업과 영세기업 간 소득 격차는 200만원에 육박해 기업 규모별 임금 격차도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위소득은 241만원
통계청은 지난 22일 이런 내용이 담긴 ‘임금근로일자리별 소득(보수) 분포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건강보험, 국민연금, 공무원·군인연금 등 직역연금에 가입한 임금근로자의 2015년 기준 월평균 소득(세전)은 329만원이었다. 이들을 한줄로 늘어세웠을 때 가장 가운데 있는 사람의 소득을 의미하는 중위소득은 241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일자리행정통계를 토대로 한 시험적인 성격으로, 조사 대상은 전체 일자리의 약 60% 수준인 1500만개로 한정됐다. 일용근로자와 같은 취약근로자나 자영업자 같은 비임금근로자의 일자리 약 900만개는 빠져 있어 실제 평균·중위 소득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150만원 이상 250만원 미만’이 28.4%로 가장 비중이 컸다. 이어 ‘85만원 이상 150만원 미만’이 19.4%, ‘250만원 이상 350만원 미만’이 16.6%로 나타났다.

85만원 미만은 4.0%였으며, 650만원이상은 8.6%에 달해 대조를 이뤘다.

금융업 종사자 월급, 식당의 3배
업종별로 보면 2015년 기준 금융 및 보험업 종사자의 평균 월 소득은 578만원으로 전체 업종 중 가장 높았다.

한국전력 등 공기업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이 546만원으로 두번째로 많았고 정부기관이 포함된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이 427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광업(411만원),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395만원) 등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평균 월 소득이 가장 낮은 업종은 숙박 및 음식점업으로 173만원에 그쳤다. 가장 평균소득이 높은 금융 및 보험업의 30%를 밑도는 수준이다.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199만원)도 200만원에 미치지 못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28만원),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238만원) 등도 평균 소득이 낮게 나타났다.

평균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가운데 지점의 소득을 뜻하는 중위소득은 금융 및 보험업이 439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숙박 및 음식점업이 145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영세한 기업 근로자, 대기업 절반 벌어
종사자 규모별로 보면 직원 수가 많은 기업일수록 소득도 높은 모습을 보였다. 영세한 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가 한달 동안 일해서 번 소득이 대기업 근로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00인 이상 대기업 직원의 평균 월 소득이 432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50∼300인 미만 기업체 직원은 312만원, 50인 미만은 238만원이었다. 특히 고소득 직원일수록 기업규모에 따른 비중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 650만원 이상 직원 비중은 300인 이상 기업이 16.0%였지만 50∼300인 미만 기업은 5.6%, 50인 미만 기업은 3.0%에 불과했다.

85∼150만원 미만 직원 비중은 50인 미만 기업이 30.8%에 달한 반면 300인 이상 기업은 9.6%, 50∼300인 미만 기업은 14.8%였다.

300인 이상 기업의 중위소득은 367만원이었으며 50∼300인 미만 기업은 246만원, 50인 미만 기업은 180만원이었다.

청년층 월급 노년층 보다 적어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평균 소득은 각각 390만원, 236만원으로 남성이 1.65배 더 받았다. 

청년층은 은퇴한 노년층보다 평균 월급이 더 적었다. 이는 기업 고위 임원이나 대표가 정년 이후에도 고액을 받아 전체 평균을 끌어올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연령별 평균 월급은 50대(386만원), 40대(383만원), 30대(319만원), 60세 이상(256만원), 29세 이하(215만원) 순이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