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경제 성장을 이끌었던 제조업이 활력을 잃고 있다. 새로운 기업이 등장하는 비율은 낮아지고 있고, 기업이 내놓는 ‘세계 최초 상품’도 줄고 있다. 기존 산업은 혁신 동력이 약해지고 수익성도 낮아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제조업 신생률과 소멸률 모두 하락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 24일 발표한 ‘국내 제조업의 신진대사 진단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업 신생률과 소멸률이 모두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활동하는 기업에서 새로 생겨난 기업의 비율인 제조업 신생률은 2006∼2010년 사이 연평균 18.1%였지만 2011∼2015년에는 연평균 14.9%로 하락했다. 또 전체 기업에서 사라진 기업의 비율을 나타내는 소멸률도 같은 기간 11.7%에서 10.1%로 낮아졌다. 신생률과 소멸률을 합친 교체율은 2011∼2015년 기준으로 연평균 25.0%를 기록, 독일(53.8%)이나, 미국(46.9%)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제조업 업계에서 창업 기업도 폐업 기업도 찾기 어려워진 것이다.
2011년 제조업 신생기업 가운데 고성장 기업 비율이 15% 수준이었지만 2015년은 8%대로 추락했다.
보고서는 “새로운 기업 진입은 줄고 기존 기업은 생존을 지속하면서 과당 경쟁으로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며 “고성장 제조업체도 줄고 있어 좋은 일자리 창출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2000년 이후 새로 생긴 국내 제조업체 중 올해 기준으로 ‘포브스 글로벌 2000’순위에 진입한 기업은 2개에 불과해 미국(22개사)이나 일본(11개사)보다 크게 적었다.

세계 최초 제품도 점점 줄어
세계 최초인 제품을 선보였다는 기업도 줄어들고 있다. 2009∼2011년에는 지난 3년간 세계 최초인 제품을 내놓은 적이 있다는 기업의 응답률이 5.0%였지만 2013∼2015년에는 3.2%로 줄었다.
사업구조 재편도 더디고 저수익성 사업구조도 지속되고 있다. 포브스 글로벌 500에 속한 8개 한국 제조업체 중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새로 만들거나 철수한 사업부문은 4개에 불과했다.
반면 미국 제조업체는 21개사에서 29개 사업부문이, 일본은 20개사에서 43개 사업부문이 재편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은 사업부문별 영업이익률이 5% 이하인 사업부문의 비중이 67%나 됐고 15% 이하인 비중도 96%였다. 그러나 미국은 5% 이하가 32%, 15% 이하는 54%에 그쳐 활발한 사업재편을 통해 고수익 사업 구조를 구축하고 있었다.
인수·합병(M&A)을 통한 사업재편도 저조하다. 한국은 2011∼2013년 대비 2014∼2016년의 M&A 금액이 2% 감소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미국은 64%, 일본은 14% 늘어나며 큰 차이를 보였다.
이장균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국내 제조업은 신진대사 활동이 저하되고 있어 저수익 체질이 고착화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