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은 노후준비 부족으로 평균적으로 생애 마지막 8년 남짓을 불행한 삶을 살 수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한국, 일본, 미국, 독일, 영국 등 5개국의 20∼50대 경제활동인구 각 1000명씩을 대상으로 조사한 ‘행복수명 국제비교’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행복수명은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와 서울대 노년·은퇴설계연구소가 지난해 공동으로 개발한 노후준비 측정 지표다.
행복수명은 건강, 경제적 안정, 사회적 활동, 원만한 인간관계를 기반으로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기간을 가리킨다.
우리나라의 행복수명은 74.6세로 조사 대상 5개국 가운데 가장 낮았다. 독일이 77.6세로 1위에 올랐고, 이어 영국·미국(76.6세), 일본(75.3세) 순이었다.
우리나라는 행복수명과 기대수명간의 차이가 8.5년으로 일본(9.5년) 다음으로 격차가 컸다. 건강, 경제적 안정, 사회적 활동, 원만한 인간관계 등의 영역에서 노후준비 부족으로 생애 마지막 8.5년간 행복한 삶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69.3%가 행복수명이 기대수명보다 5년 이상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국가에 비해 노후준비에 취약한 계층이 많아 노후에 삶의 질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 우려된다고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지적했다.
영국(5.7년), 미국(4.3), 독일(4.2년) 등 서구권 국가는 행복수명과 기대수명간 평균 격차가 작았다.
행복수명의 영역별 수치를 보면 우리나라는 건강수명이 73.6세(4위), 경제수명 77.0세(4위), 활동수명 72.5세(5위), 관계수명은 75.2세(5위)로 전 영역에서 노후준비 수준이 미흡했다.
모든 국가에서 노후 행복의 구성요인 중 건강이 가장 중요하다고 꼽았다. 우리나라는 경제적 노후준비를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5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지만 경제수명과 기대수명간 차이가 6.1년으로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우리나라의 은퇴자산 특성을 보면 부동산 자산(1위)은 많은 반면 노후대비 금융자산(5위)과 연금 수령액(5위)이 부족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