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우리 경제는 투자가 둔화되면서 건설업을 중심으로 고용이 축소, 취업자 증가폭 역시 30만명 내외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경기 개선에도 고용시장에는 아직 훈풍이 불고 있지 않은 만큼 소득확대 정책 등으로 민간소비를 늘려 노동수요를 자극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정대희·김지운 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최근 취업자 증감에 대한 분석 및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최근 취업자 증감을 수요 및 공급 요인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우선 산업별 취업자 증감의 공급측 요인을 살펴본 결과 15세 이상 인구가 증가하면서 인구수 변화는 모든 산업에서 취업자 증가폭을 늘리는 방향으로 작용했다.
반면 올해부터 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가 나타나는 등 고령화는 서비스업과 제조업 취업자 증가폭을 축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다른 조건이 동일한 상태에서 인구구조만 변한다고 가정할 경우 2018~2020년 취업자 증가폭은 대체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이어 수요측 요인이 취업자 증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민간소비가 1%포인트 확대되면 취업자수는 단기적으로 1만7000명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은 설비투자에, 건설업은 설비투자와 건설투자에 유의하게 반응했다.
보고서는 “이같은 결과는 민간소비 개선이 서비스업에 대한 노동수요 확대를 통해 단기적으로 취업자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러한 공급 및 수요측 요인을 감안해 결과 내년 취업자수 증가폭은 30만명 내외로 올해(30만명대 초반)에 비해 축소될 것으로 예측했다.
인구구조 변화 등 노동공급 측 요인에 의한 취업자 증감은 올해 14만5000명에서 내년 15만1000명으로 소폭 확대되지만, 총수요 항목 측면에서는 투자 둔화 등으로 취업자 증감이 올해 17만명대에서 내년 13만명대로 축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내년 예산안에 포함된 일자리 확대 정책 효과(약 2만~3만명)를 감안하더라도 올해에 비해 취업자 증가폭은 작아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민간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득확대 정책 등은 서비스업의 노동 수요를 확대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청년 및 여성층 노동시장 참여 확대, 출산율 제고 등 노동공급 확대 노력을 지속하는 가운데 기업의 혁신활동을 지원해 새로운 노동수요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